영상 및 회의록
제270회 함양군의회(임시회)
본회의회의록 제3호
함양군의회사무과
일시 2022년 7월 22일(금)
장소 본회의장
날씨 맑음
의사일정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부의된 안건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
○.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 휴양밸리과 소관 업무보고
○. 농축산과 소관 업무보고
○. 친환경농업과 소관 업무보고
○. 농산물유통과 소관 업무보고
○.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 문화시설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0시00분 개의)
○의장 박용운 회의에 앞서 잠시 안내말씀 드리겠습니다. 우리 군수님과 정현철 부의장께서 다른 일정이 계셔가지고 부득이하게 지금 본회의에 참석을 못하였음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70회 함양군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의장 박용운 의사일정 제1항,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오늘은 건설교통과를 포함하여 8개과의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먼저 건설교통과장 나오셔서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등단)
○.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
(10시01분)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안녕하십니까? 건설교통과장 조영현입니다.
건설교통과 소관 군정주요업무 계획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339~45페이지까지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요업무 26건에 대해 보고 드리겠습니다. 먼저 347페이지 1번, 주민숙원사업 시행입니다. 생활주변 시설물 정비로 군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81억 원의 사업비로 330여건의 사업을 연중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48페이지 2번, 지방도 1023호선(구양~월평) 정비사업업니다. 지리산 가는 길인 지방도 1023호 선상 오도재 구간이 겨울철 도로기능 상실로 통행불편과 군민들과 지리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불편해 하는 도로환경을, 터널개설사업으로 안전한 도로를 만들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지난해 경상남도 도로건설관리계획 ‘21~5년까지 5개년 계획에 반영되었습니다. 지속적으로 경상남도와 협의를 해 안전한 도로환경이 만들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349페이지 3번, 군도 확포장사업입니다. 지역균형개발을 위한 도로망 구축을 위해 12억 원의 사업비로 군도 21호선 서하송계~서상 노상간 도로를 보상 중에 있으며, 군도 7호선 지곡 공배~백일간 도로에 대해 설계 중입니다. 군도 17호선 안의대대~상원간 도로에 대해서는 타당성 조사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0페이지 4번, 농어촌도로 확포장사업입니다. 군민들의 생활편익증진을 위해 48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11개 노선의 도로를 정비하고 있습니다. 세부내역은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351페이지 5번, 이은~난평간 도로확포장공사입니다. 본 사업은 함양읍 시가지 우회도로로써 지방도 1084호선을 연장해 국도 24호선과 잇는 공사입니다.
총사업비 180억 원이며, 도로확포장 2.5㎞입니다. 올해 예산 7억 원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2페이지입니다. 6번, 백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입니다. 백전면 경백리~양백리 7.91㎞구간 위천에 대한 하천재해예방사업을 위한 사업으로, 올해 5억 원의 예산으로 지구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3페이지입니다. 7번, 목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입니다. 휴천면 목현리~호산리 2.2㎞ 구간 서주천‧고태천 일원에 대한 하천재해예방을 위한 사업으로, 올해 5억 원의 예산으로 지구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다음은 354페이지입니다. 8번, 2021년 하반기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입니다. 하폭과 시설기준 미달인 교량을 재가설 하는 사업으로, 30억 원의 사업비로 마천면 등구마을의 등구교, 병곡면 월암마을의 월암교를 재가설 하기 위해 설계진행 중입니다. 조속히 발주될 수 있도록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55페이지입니다. 9번, 함양위천 생태하천 조성(이은지구)사업입니다. 하천 내 친수공간 조성과 재해예방을 위한 작년 이월사업으로, 10억 원의 사업비로 함양읍 이은리~용평리 일원 위천변 저수호안과 산책로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56페이지입니다. 10번, 덕전천 재해예방사업입니다.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마천면 가흥리~삼정리 6㎞ 구간을 정비하는 사업으로,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설계와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7페이지입니다. 11번, 소하천 정비사업입니다. 수해피해예방과 하천생태보전,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위해 올해 30억 원의 사업비로 지곡 보각, 백전면 평정, 안의면 봉산, 3곳에 하천정비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8페이지입니다. 12번, 백현소하천 정비(특별교부세)사업입니다. 수해피해 예방을 위해 백전면 경백리 소재 소하천 740m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9페이지입니다. 13번, 함양위천 재해예방(특별교부세)사업입니다. 상림공원 옆 콘크리트 보인 대아보를 가동보로 개량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 7억 원의 사업비로 시공코자 현재 설계 완료하고, 행정절차로 문화재청과 현상변경허가를 협의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0페이지입니다. 14번, 일반하천정비사업입니다. 하천정비로 피해예방을 위해 안의면 삼산마을, 함양읍 기동마을, 지곡면 주암마을에 소규모지구하천 정비를 위해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축제와 호안 730m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61페이지입니다. 15번, 경지정리구역 기초생활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 기존 경지정리구역에 대한 리모델링 사업으로써, 올해 93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19개소에 기계화 경작로 11㎞와 용수로 8㎞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62페이지와 363페이지입니다. 16번,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입니다. 농촌마을의 생활환경정비와 소득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것으로, 작년 이월예산으로 올해 예산과 함께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농촌중심지 생활사업으로 병곡면 송평리 일원, 기초생활거점 육성사업으로 안의면 소재지, 수동면 소재지 일원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농촌다움복원사업으로 마천면 군자리 일원 도마다랑이논 복원사업, 마을만들기사업으로 관내 10개소 마을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4페이지 17번, 농어촌취약지역 생활여건개조사업입니다. 농촌마을의 생활환경정비와 지역경관 개선사업으로, 올해 13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5개 지구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5페이지 18번, 재해위험저수지 정비사업입니다. 영농편의와 안정적인 관계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시설정비사업으로, 올해 17억 원의 사업비로 지곡면 정취, 서하면 거양, 서상면 송골 3개 저수지에 대해 정비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6페이지 19번, 농업생산기반시설 정비(도비보조)사업입니다. 노동력 절감을 통한 영농편의제공을 위해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논두렁설치 15㎞와 농배수로정비 3㎞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7페이지입니다. 20번, 안의면 석천공영주차장 조성사업입니다. 안의면 소재지 일원 주차난 완화를 위한 사업으로, 11억 원의 사업비로 토지보상과 설계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9월경 사업착공 일정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8페이지 21번, 주차난 해소를 위한 공영주차장 확충 및 관리입니다. 주거밀집지역 내 공공유휴지를 활용한 소규모 주차공간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향후 관련사업 예산편성 요청 시 적극적으로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주차시설로는 함양읍 시가지 노상주차장과 한들노외주차장을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69페이지입니다. 22번, 시외일반버스 천원 단일요금 시행입니다. 함양~인월~마천구간과 백전~인월구간의 시외일반버스 요금을 천 원으로 단일화해 군민들에게 교통이용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난 3월부터 시행하였습니다.
다음은 370페이지입니다. 23번, 한들생태환경주차장 운영관리입니다. 함양읍 시가지를 경유하는 국도 24호선 도로를 그동안 노상주차장으로 임시 사용하던 공간을, 본래의 목적인 간선교통시설로 복원하고, 한들 측으로 전용 노외주차장을 조성해 작년부터 공용하고 있는 주차장을 이용객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운영관리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입니다. 24번, 한들거점센터 공영주차장 조성사업입니다. 전통시장 이용객들에 대한 주차편의를 위해 올해 32억 원의 사업비로 20면을 조성하기 위해 용지 등 보상과 설계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10월경 착공예정으로 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72페이지입니다. 25번, 안전지향 교통시설 인프라 확충 관리입니다. 교통안전시설물 확충 유지보수를 위한 사업으로, 7억 6,000만 원의 예산으로 연중 추진 중에 있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73페이지 마지막으로 26번, 대중교통 운영 안정화로 교통복지 증진입니다. 운수업체의 경영안정과 대중교통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 55억 원의 사업비로 벽지노선 손실보상 지원, 유가보조금 지원, 농어촌버스 단일화 손실보상금 지원, 버스‧택시 광고홍보비 지원, 교통약자 콜택시‧브라보 행복택시 운행 등 사업을 연중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지역균형개발과 군민들의 정주여건 제고를 위한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하단)
○의장 박용운 건설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산삼엑스포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산삼엑스포과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등단)
○.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10시14분)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입니다.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드리겠습니다.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추진방향은 지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381페이지입니다. 고품질 산양삼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사업입니다. 휴천면 월평리 일원에 2014년부터 27㏊ 규모의 산삼채종포 단지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부지와 기반시설은 완료를 한 상태이고, 지금은 고품질 우량종자와 모종을 생산해서 산삼농가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우리 산삼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잘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382페이지 산양삼 생산을 위한 지킴이 활동입니다. 산양삼 지킴이는 공무원 2명과 민간인전문가 7명, 총 9명을 팀을 구성해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월 주1~2회씩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는데, 농가들 맞춤형 기술지도 등을 통해서 최적의 산양삼 품질관리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383페이지 전국 유일의 산양삼 경매장 운영입니다. 산양삼 농가가 전국에서 참가하는 전국유일의 경매장입니다. 산림조합 주관으로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수요일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삼유통시장 선점을 위해서 경매활성화와 그 규모 등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384페이지 산양삼 항노화 산업 활성화 추진입니다. 산양삼항노화 제품 수출용 포장재와 홍보마케팅, 판촉행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산양삼 제품 인지도 향상과 자체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실질적인 성과가 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385페이지 함양산양삼 브랜드 강화를 위한 홍보마케팅입니다. 시대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서 함양산삼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습니다.
386페이지 산양삼산업의 농촌 신활력 플러스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019년도에 정부 공모를 통해서 사업비 70억을 받아서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서 산삼농가와 산삼가공업체에게 필요한 생산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산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산삼농가의 자체 역량강화 등 지속가능한 산양삼산업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소기의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87페이지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제품개발입니다. 이 사업은 경상남도와 함양군, 임업진흥원이 공동 참여해서 경상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서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3개년도 계속사업으로 금년도에 완료할 예정입니다. 호흡기질환 효능연구와 그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간분야에서 산양삼 산업화와 표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88페이지 산양삼특화산업진흥센터 건립지원입니다. 공공기관 유치사업으로써 상림공원 인근에 한국임업진흥원이 자체예산 99억 원을 투입해서 3층 규모의 공공청사를 짓고 있습니다. 금년 말까지 준공을 마치고 내년 상반기쯤에는 직원의 상주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89페이지 산양삼 산업화단지 등 효율적인 관리입니다. 산삼주제관과 산양삼 유통센터, 항노화관과 테마관 등에 대한 시설보완과 유지관리를 위한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4억 9,000만 원입니다. 건물유지보수와 파사드영상 및 경관조성 등을 통해서 쾌적한 시설관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390페이지 항노화테마원 주변 숙근초 군락지 조성입니다. 항노화테마원 일대에 사업비 1억 원을 들여서 다년생인 숙근초 군락지를 조성코자 합니다. 8월 중에 예정지에 대한 사전환경조사와 실시설계용역을 거쳐서 9월 중에 조성토록 하겠습니다.
391페이지 VR체험존과 항노화 체험관 운영입니다. VR체험장비는 산삼주제관 2층에 총 6대가 설치되어 있고, 항노화관에는 인바디, 뇌파측정기, 진공치료기 등 건강체험장비 8종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평일과 주말에는 요가와 명상, 오감체험, 헬스투어 등의 체험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치유와 힐링이 가능한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서 군민과 방문객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도록 하겠습니다.
392페이지 시군창의(웰에이징) 사업 추진입니다. 이 사업은 사업비 10억 원을 들여서 웰에이징을 주테마로 하여 건강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18년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해오고 있는데 헬스투어 전문가 양성, 인재역량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393페이지 함양 산양삼 Welcome 농장 운영사업입니다. Welcome 농장 운영사업은 병곡면 원산리 일원에 부지 4,000여 평 규모로 도시민과 귀농인에게 산양삼체험 주말농장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9년도부터 총 12억을 투입하였습니다. 현재까지 도시민 61명, 귀농인 18명, 총 79명에게 농장을 분양해서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금년도 제17회 산삼축제 개최입니다. 올해 산삼축제는 9월 2일부터 9월 11일까지 10일간 개최됩니다. 전년도에 열린 산삼엑스포 개최이후에 축제를 바라보는 군민눈높이가 한층 높아져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군민기대치에 부합하는 산삼축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산삼엑스포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하단)
○의장 박용운 산삼엑스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휴양밸리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휴양밸리과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등단)
○. 휴양밸리과 소관 업무보고
(10시21분)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반갑습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입니다.
저희 휴양밸리과는 5개 담당에 저를 포함하여 공무원 19명과 공무직 3명, 기간제근로자 61명이 스카이랜드와 캠핑랜드 그리고 힐링관을 친절과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럼 휴양밸리과 2022년도 군정주요업무를 보고 드리겠습니다.
395페이지입니다.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로 갈음하고 2022년 주요업무계획 12가지에 대하여 핵심사항만 간략하게 보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05페이지 군정주요업무계획 첫 번째, 고객만족 대봉휴양밸리관 운영입니다. 대봉휴양밸리관은 휴양밸리의 체계적인 통합운영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이자 방문객들의 최 관문으로써 휴양밸리를 찾아주시는 방문객들을 위한 주차장, 매표소, 식당, 카페, 셔틀버스 등 각종 편의시설과 포토존, 분수대, 각종체험 등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변시설의 쾌적한 환경정비 및 안전한 시설관리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다시 찾고 싶은 휴양밸리가 되도록 운영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6월 30일 기준 약 4만 7,000명이 다녀갔습니다.
다음 406페이지 두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자산평가 및 운영손익분석입니다. 2021년 4월 21일에 개장한 함양대봉산휴양밸리의 자산평가 및 운영손익분석을 실시하여, 자산관리를 위한 토대마련 및 향후 운영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용역입니다.
용역내용은 대봉스카이랜드 및 캠핑랜드,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생태숲에 대하여 1년간의 분석이며, 올 6월에 착수하여 12월에 완료할 예정이고 용역비는 1,900만 원입니다.
다음 세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종합 홍보추진입니다. 함양군 대표 산악형 힐링체험 관광지 대봉산휴양밸리의 홍보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홍보사업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홍보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한 종합연계 홍보를 실시하고자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비는 1억 2,000만 원입니다.
그동안 대표적으로 홍보영상제작, 바이럴마케팅, 지하철 스크린도어 광고 등을 실시하였고, 앞으로도 방송매체 홍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로 전국 요소요소 방문객들에게 브랜드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408페이지 네 번째, 선제적 안전사고 대응 CCTV관제센터 운영입니다. 각종 재난으로부터 휴양밸리 이용객의 안전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1억 5,000만 원이며, 관제센터 CCTV 178대에 대한 유지관리 계약과 상시모니터링을 위한 관제센터 직원 2명에 대한 유지보수 및 운영비 관련 예산입니다.
꼼꼼한 모니터링 관리로 대봉산휴양밸리 일원의 상시 안전한 관리와 시설의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다섯 번째, 대봉스카이랜드 무료 셔틀버스 운영입니다. 대봉스카이랜드 매표소에서 모노레일 하부승강장까지 5㎞구간에 대해서 관광객들의 안전한 이동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1억 7,500만 원입니다.
비수기 9개월은 2대, 성수기 3개월 7‧8‧9월은 3대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시 차량점검으로 안전을 도모하고 차량 내 홍보영상 등을 통한 함양군과 휴양밸리 홍보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410페이지 여섯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시설 유지관리 및 정비사업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의 스카이랜드와 캠핑랜드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 사업으로, 사업비는 5억 8,000만 원입니다.
상시점검 및 신속한 보수로 대봉산휴양밸리를 찾는 탐방객들의 불편이 없도록 시설유지보수 및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일곱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철쭉군락지 보강사업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 일원 철쭉군락지 일부 고사로 인해 보강이 필요한 곳에 철쭉을 식재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3억 원입니다. 대봉산 철쭉 분포현황 및 생육상태 등 사전조사를 3월에 마쳤으며, 9월에 착공하여 11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 412페이지 여덟 번째, 대봉모노레일 비상 대피로 보완 및 설치사업입니다. 대봉모노레일 비상상황 발생 시 원활한 대피와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0억 원입니다. 비상대피로 2.2㎞를 보완 및 설치할 계획이며, 모노레일 기초공사 22개소는 올 6월에 완료하였고, 금년도사업 2억 원으로 시급한 구간 피난보도 설치 652m에 대해서는 7월 중 착공하여 12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 아홉 번째, 대봉스카이랜드‧대봉캠핑랜드 운영 관리입니다. 대봉스카이랜드‧대봉캠핑랜드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력 및 시설 관리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28억 900만 원입니다.
모노레일‧집라인 정밀안전점검 등 유지보수비와 스카이랜드‧캠핑랜드시설 운영을 위한 각종 소모품구입비 그리고 기간제근로자 49명에 대한 인건비로 소요되는 사업입니다. 6월 30일 기준 8억 9,20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기간제근로자들의 높은 업무강도와 최저임금수준의 근무환경으로, 인력수급 애로가 있어 고용안정화 및 전문인력 육성이 절실한 사항입니다마는, 운행 시 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414페이지 열 번째, 대봉모노레일 신규 차량구입니다. 방문객 증가로 인한 모노레일 탑승차량이 부족하여 탑승인원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7억 5,000만 원입니다.
모노레일차량 8인승 3대를 구입하여 어제 준공검사를 마쳤습니다. 마치고 8월부터 모노레일 3대를 추가하여 총 13대로 운행할 계획입니다. 3대 증가로 인하여 당초에 396명이었던 탑승인원은 147명이 추가되어 542명이 탑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 열한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휴양체험프로그램 운영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의 관광활성화 제고를 위한 사업으로 소원지 달기, 하바리움 소모품 만들기 등 체험프로그램 및 모바일 스탬프투어 운영을 위한 소모품 구입과 운영인력 2명에 대한 인건비로서, 사업비는 8,900만 원입니다.
스카이랜드체험과 모바일 스탬프투어는 상시 운영하고 있고, 캠핑랜드는 주말체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 6월 30일 기준 3,282명이 체험하여 약 82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다음 416페이지 마지막으로 열두 번째, 대봉힐링관 운영입니다. 환경성질환의 선제적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업으로 환경성질환 예방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건강체험존 운영, 개인 기초검사, 건강검사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와 운영비, 재료비 등을 위한 연간운영비로 사업비는 7억 1,000만 원입니다.
올해 4월 1일 개강하여 임시 운영 중에 있으며, 6월 30일 기준 985명이 체험하여 약 57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이번 하반기 인사로 간호직 공무원 1명이 증원되어 법적인 2명이 충족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10월부터 정상운영을 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휴양밸리과 2022년도 군정주요업무계획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하단)
○의장 박용운 휴양밸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축산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등단)
○. 농축산과 소관 업무보고
(10시29분)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입니다.
농축산과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책자 441페이지부터입니다.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449페이지의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451페이지 지리산자락 다랑이논 복원사업은 마천면 도마마을의 계단식 논을 대상으로 ‘23년까지 7억 3,800만 원을 투자하여 전통농법을 재현하고 보전하여,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된 국가중요 농업유산 등재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452페이지입니다. 농지의 효율적 이용관리 지원사업과 453페이지 농업법인 운영실태 조사는 농지법에 의해서 매년 추진하는 사업이므로, 유인물을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54페이지입니다. 농어업인 수당지원은 경상남도 농어업인 수당지급 조례에 의해 금년에 처음으로 시행하는 사업으로써, 관내 농업‧어업‧임업경영체 등록자 1인당 연간 30만 원씩 지급하는 수당으로써, 금년 예산은 41억 2,800만 원으로 7월말까지 지급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455페이지 농업인 복지향상 지원사업은 농작물재해보험과 여성농업인 출산 바우처사업 등 6종의 사업에 총 57억 4,0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는 사업으로써, 상세한 내역은 책자를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57페이지 농업소득의 보전을 위한 직불사업은 세 가지로써 공익, 밭농업, 친환경농업에 대한 직접지불제도로써 금년예산은 145억입니다.
458페이지입니다. 소득특화자금 융자지원사업은 기금 총 115억 4,000만 원을 운영하여 농업인, 농업법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3,000만 원에서 1억 원까지 연리 1%로 융자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금년 상반기는 28명에게 7억 2,800만 원을 융자하였으며, 하반기에는 30억 원을 융자 지원할 계획으로, 8월말까지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459페이지입니다. 가축경매시장 현대화사업은 ‘23년까지 19억 6,000만 원의 사업비로, 하림축산폐수처리장 인근 용평리 915-210번지 일원에 1만 925㎡에 2,083㎡의 가축경매시장 건물을 신축하는 사업으로써, 함양산청축협에서 실시설계를 마쳤고 현재 경상남도의 계약심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9월에 착공하여 내년 4월에 준공할 계획으로 현재 착실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460~67페이지까지 8개 사업은 축산 분야 사업이므로 묶어서 일괄 보고 드리겠습니다.
우선 460페이지 축산경쟁력 강화 및 기반확충사업은 축산발전기금사업으로 우량암소 수정란 이식과 가금 및 양봉지원 등 4개 분야에 37개 사업이며, 461페이지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에 7억 9,700만 원으로써 사일리지 제조비, 종자대 등 5개 사업 분야입니다.
462페이지 축산악취개선 및 청정축산환경조성 사업도 기금사업으로써 13억 4,000만 원으로 악취개선을 위해 환경개선제, 수분조절제 등 공급사업입니다.
최근 축사 인근지역 주민들의 축산악취 관련 민원이 계속 증가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사업 확대 수시단속 및 지도를 통하여 집단민원에 적극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63페이지 축산종합방역소 건립사업은 앞에서 설명 드린 가축경매시장과 연계하여 ‘23년까지 5억 7,600만 원으로써 축산방역시설을 갖출 계획으로, 7월에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마치고 8월에 착공하여 금년 연말까지 완공하도록 하겠습니다.
464페이지 실외사육견 중성화 지원 사업은 7,800만 원으로써 개체 수를 조절해 나가고, 465페이지 아프리카 돼지열병, 조류독감,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예방사업은 25억 8,100만 원으로 우리 군내 가축전염병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466페이지 쇠고기 이력제 및 축산물위생관리는 1억 6,500만 원, 467페이지 동물복지사업은 1억 6,400만 원으로 자세한 사항은 책자를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68~71페이지까지는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사업으로 앞과 같이 묶어서 일괄 보고 드리겠습니다.
468페이지 귀농인을 위한 농지임대 지원사업은 농업경영체 등록한 귀농인이 농어촌공사를 통하여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임차료의 80%까지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469페이지 귀농인 유치를 위한 빈집 리모델링은 비용의 80%를 최대 2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470페이지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예비귀농인이 1년간 머물면서 귀농준비를 할 수 있는 사업으로써, 현재 지난 3월부터 30세대 44명이 입주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71페이지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은 3억 3,000만 원으로써 농촌에서 살아보기, 귀농인의 집 운영 등을 통하여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사업으로, 우리군 인구늘리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농축산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하단)
○의장 박용운 농업기술센터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친환경농업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과장님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등단)
○. 친환경농업과 소관 업무보고
(10시36분)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입니다.
2022년 친환경농업과 주요업무계획 13건에 대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먼저 481페이지입니다. 농업현장 민원 신속대응체계 구축입니다. 농업인 편의를 위하여 박사‧석사‧식물보호기사 등 자격증 보유 11명의 직원이 수시로 농업현장을 방문하여 민원을 상담하고 있으며, 진단키트 등을 활용 병해충을 신속 진단하여 해결하고, 해결불가 시 농업기술원과 농촌진흥청에 의뢰하여 정밀분석 및 해결로 농업인 편의제공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 482페이지 양파 전 단계 기계화 우수모델 구축사업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시범사업으로 2년간 44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하여 1차년도 사업은 줄기절단기 등 5종 35대를 공급하여 농가에서 사용 중에 있으며, 2차년도 사업은 금년 연말에 공모를 통하여 사업대상자를 선정, 양파기계화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483페이지 유기질비료 수요증가에 따른 지원확대입니다. 농가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도비 지원 감소추세로 농가신청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국‧도비 확보와 군비증액 등으로 부족물량확보에 주력하고 가축분 퇴비 품질향상에도 최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484페이지 기후변화 대비 신소득 작목 발굴 육성입니다. 새로운 소득작목 발굴을 위하여 애플망고, 커피, 하미과 등의 시설 및 묘목 자재를 지원하여 자생력을 키우겠으며, 기술교육과 시범재배를 추진하고 지역적응성, 시장성 등을 평가 분석하여 향후 확대재배 등을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485페이지 상림경관단지 명소화입니다. 상림숲과 어울리는 다양한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계절별 다양한 꽃을 식재 관리하고, 운영비 절감을 위하여 다년생 초화류 재배를 확대하겠으며, 산삼축제기간에 꽃을 볼 수 있도록 개화시기조절에도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486페이지 함양 쌀 품질고급화 및 농작업 생력화입니다. 고품질 기능성 쌀 생산을 위한 병해충 방제비를 지원하고, 생산비절감 벼 드문 모 재배확대와 벼 상토 및 모판을 지원하여 농촌고령화에 대응 노동력을 절감하겠으며, 병해충 신속대응체계 구축으로 쌀 품질을 고급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87페이지 명품 함양사과 지역브랜드 가치향상입니다. 680여 사과농가의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하여 시설현대화사업을 추진하고, 생력기계화 보급을 통한 노동력을 절감하겠으며, 이상기후 대응 안정적 과수생산 자재지원으로 농가경영 안정과 명품브랜드 가치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음 488페이지 함양곶감 고소득 작목 육성입니다. 고품질 안정적 원료감 생산기반조성을 확대하겠으며, 건조장비 등 현대화 생산설비 지원으로 품질을 향상하고 생산이력제,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서 고소득 작목으로 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89페이지 고품질 딸기 및 시설채소 경쟁력 제고입니다. 딸기재배시설 현대화 및 품질향상 자재를 지원하고, 스마트팜 기술활용 생산시범사업을 추진하겠으며, 고설재배시설과 에너지절감, 비가림재배시설을 확대하여 시설채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90페이지 생활원예 체험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유치원생‧초등학생, 희망주민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아열대식물원 견학과 화훼체험, 국화분재 교육을 실시하여 군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원예 활성화와 여가활용 기회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491페이지 꽃 양묘장 운영 활성화입니다. 실증시범포에서 계절별 특색 있는 초화류 7종 60만 본을 생산하여 읍면 꽃길 꽃동산용으로 공급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아름다운 꽃길조성으로 쾌적한 농촌 환경조성에도 보탬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492페이지 함양양파 품질향상으로 명품화입니다. 연작장애 및 토양전염병 경감 소독제를 공급하고, 기계화를 통한 노동력 절감과 우량품종을 지원하겠으며, 양파저장성 향상 비교실험을 통하여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하여 명품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493페이지 소득작물 스마트팜 재배시설 확대입니다. 스마트팜 큐브이용 쌈채소 생산시설을 시범지원하고 하우스 무인환경시설, 환경개선시설 등 시설개선을 통한 스마트팜 시설 확대로 농가경쟁력을 강화하겠으며, 향후 스마트팜 재배시설을 적극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친환경농업과 소관 군정업무계획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하단)
○의장 박용운 친환경농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산물유통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과장님 나오셔서 보고해 주십시오.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등단)
○. 농산물유통과 소관 업무보고
(10시42분)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입니다.
농산물유통과 주요업무계획에 대해 핵심사항 위주로 간략히 보고 드리겠습니다.
497페이지부터인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505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미래 선진농업인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입니다. 농업인의 의식개선과 핵심영농기술 교육을 통해 전문농업인을 양성해 나가는 사업으로, 향후 GAP 등 단기집중교육과 함양농업대학 등 중장기전문교육을 구분해 현 트렌드와 농업인의 요구에 부합되게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미래농업을 선도할 맞춤형 인재를 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 함양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인 단체 육성입니다. 농촌지도자회를 비롯한 6개의 농업인 학습단체에 대해 단체별 선택과 집중을 통한 육성을 위하여 농촌지도자회는 환경살리기에, 농업경영인회는 후계농 육성에, 여성농업인과 생활개선회는 봉사활동 등을 통한 여성농업인 위상제고에, 4H연합회는 미래농업을 이끌어나갈 역량강화를 위해 집중 지원함으로써 핵심단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세 번째, 미래농업 경쟁력 향상 위한 청년농업인 육성입니다. 대상은 만 45세 이하 농업인 771명입니다. 추진계획입니다. 청년농업인의 조기영농 정착을 위해 연령대별 농업경력별로 구분하여 지원육성 하고 있으며, 농업실습기회 제공, 청년농업인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업지원, 다양한 교육을 통한 온라인 판매지원 등을 통해 청년농업인이 조기에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네 번째, 함양군 농특산물 품질인증제 확대입니다. 함양군에서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차별화된 명품브랜드를 육성해, 유통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기 위한 사업으로 금년도 대상품목은 사과, 양파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품질인증 농산물을 딸기와 복숭아 등으로 확대하고, 생산자 단체의 역량강화 교육병행 등을 통해 차별화된 명품농산물을 제 값에 판매할 수 있는 유통판매처확보와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섯 번째, 수출전략형 품목발굴로 수출경쟁력 강화입니다. 2022년 수출목표는 4,000만 불로 해외전략적 수출품목 발굴과 수출산업육성 및 지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해 나감은 물론, 미국 함양군 페이스샵을 전진기지로 한 미주지역 수출확대, 해외마케팅을 통한 수출판로 확보로 내수시장 안정과 농가소득증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0페이지 농특산물 유통채널 다양화로 직거래 활성화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온-오프라인을 통한 농특산물 홍보와 판매를 확대하고, 로컬푸드 및 쇼핑몰 운영 활성화, 특판행사 및 박람회 수시참여 지원을 통해 다양한 국내외유통채널을 통한 직거래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일곱 번째, GAP 인증확대로 신선농산물 신뢰 확보입니다. 현재까지 15개 품목 498농가가 GAP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향후 GAP인증확대 및 생산자 역량강화교육, 인센티브 지원사업 추진 등을 통해 소비자 신뢰의 지표가 되는 GAP인증을 확대함으로써 유통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여덟 번째, 고품질쌀 유통활성화 및 정부양곡의 안정적 관리입니다. 현재 15개의 정부양곡 창고에서 도정시설 관리 등을 통해 정부양곡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있으며, 향후 정부양곡 재고관리, 고품질쌀 브랜드화 및 유통지원을 통해 함양쌀 브랜드가치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홉 번째, 함양 향토음식 보급으로 음식관광 활성화입니다. 본 사업은 향토음식을 발굴해 음식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향후 계획입니다. 농촌체험관광과 연계한 음식관광상품 개발과 홍보, 음식관광활성화를 위한 함양만의 특색 있는 음식개발 및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군민요리창업교육과 관련,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을 수시 실시해 음식관광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4페이지 농촌생활 환경개선으로 삶의 질 향상입니다. 사업 분야는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등 4개 분야로, 향후 농업인 근로기본권 보장을 위한 쉼터 등 설치,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및 환경 개선, 농촌여성능력개발 육성지원 등을 통해 활력 있는 농촌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열한 번째,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입니다. 발전잠재력이 있는 중소식품가공업체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식품제조장 신‧증축 위생설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향후 성장단계의 가공사업 지원, 농산물가공창업 실습교육 등으로 고부가가치 식품가공업체 육성을 통한 1차 농산물의 안정적 판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열두 번째, 농뚜레일과 함께하는 생기발랄투어 활성화입니다. 코레일 및 국내여행사와 연계한 농촌체험관광 유치를 위한 사업으로, 2022년 목표인원은 1,000명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매월 1회 이상 유치한 농뚜레일 관광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수시투어상품을 보완, 발굴함은 물론 농특산물 판매와 연계한 농뚜레일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함으로써, 함양군 홍보와 더불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열세 번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소득형 관광입니다. 사업내용은 농촌교육농장 육성, 농촌축제 개최, 관광시설 종사자의 역량강화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지역특산물 등을 소재로 한 작은 축제 개최, 민박 등 관련업무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교육 등 안전한 농촌관광 기반마련을 통해 농촌마을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8페이지 맞춤형 농기계지원 및 농기계 순회수리반 운영입니다. 농업기계화를 통한 노동력 해소와 농업경영비 절감, 순회수리를 통한 농가편의를 도모하는 사업으로 향후 농기계지원사업 추진, 탄소중립을 위한 노후농기계 조기폐차 지원을 통해 농업경영비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열다섯 번째, 고객중심 농기계 임대사업소 운영입니다. 현재 4개 권역별로 농기계임대사업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농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노후화된 임대 농기계 교체구입, 농기계배달서비스 운영 준비를 통해 취약농업인의 편의도모와 농업인이 만족할 수 있는 농기계임대사업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인과 함께 성장하는 함양농업을 만들어 나가는 농산물유통과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하단)
○의장 박용운 농산물유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상하수도사업소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등단)
○.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0시50분)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안녕하십니까?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입니다.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2022년 군정주요업무 계획에 대하여 보고 드리겠습니다.
523페이지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책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31페이지 주요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 드리겠습니다. 광역마을상수도(유림지구) 설치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휴천면 동호마을과 유림면 손곡마을 등 13개 마을에 광역마을상수도시설을 설치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량은 정수시설 470톤, 취수시설 500톤, 배수시설 300톤, 송수관로 3.55㎞, 배수관로 19.52, 급수관로 12.09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09억 5,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현재 취‧배수시설과 송‧배수 및 급수관로는 설치완료 했으며, 정수시설은 설치 중에 있습니다. 금년 10월말 준공을 목표로 현재 진도는 80%정도입니다.
532페이지 소규모수도 노후화시설 개량사업입니다. 수도관 노후로 인한 누수 등 문제로 인하여 노후관로를 교체하는 사업으로, 2011년부터 ‘22년까지 11개 읍면에 사업비 137억 2,200만 원을 투입하여 노후관로 149.3㎞를 교체하는 사업이며, 금년에 9개 마을 노후관로 29.1㎞를 교체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구축사업입니다. 수돗물 공급 과정에 ICT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시 신속대응이 가능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내용입니다.
사업기간은 2023년까지이며 사업대상은 관내 지방상수도공급지역이며, 사업비는 40억 9,800만 원으로 실시간 수질‧수량측정, 긴급사항대비 시스템 구축 및 관망관리 사무실을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534페이지 수동하교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수질악화와 수량부족으로 생활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에 생활용수를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2년 10월부터 ’24년 10월까지 수동 하교리‧내백리 일원에 사업비 37억 5,700만 원으로 관로 15.3㎞, 배수지 1개소, 가압장 4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8월경 행정절차를 이행하여 계획대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백전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2022년 6월부터 ‘25년 6월까지 3년간 백전면‧서하면 13개 마을에 94억 4,200만 원을 투입하여 관로 11.6㎞, 가압장 10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사업 착공하였으며 계획대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36페이지 지곡덕암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22년 8월부터 ’24년 8월까지 덕암리 일원에 사업비 10억 원으로 관로 4.2㎞, 가압장 1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8월 중 행정절차를 이행하여 금년 내에 착공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노후 상수관로 정밀조사 용역입니다. 사업기간은 ‘22년 10월까지로 지방상수도 공급지역에 대한 노후 상수관로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수질민원에 대비하고, 중장기 개선방안을 수립코자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억 8,300만 원입니다.
538페이지 누수탐사 및 지방상수도 관망도작성 용역입니다. 우리 군의 상수도 유수율이 70%정도이며, 지방상수도 누수탐사 및 관망도 작성을 통해 상수도공급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사업으로, 2023년까지 서상‧서하‧안의면 일원에 9억 5,200만 원의 사업비로 누수탐사 113㎞, 관망도 84.2㎞를 작성하는 용역입니다.
다음 페이지 수동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수동 화산리~죽산리 일원에 사업비 45억 5,600만 원으로 관로 18.3㎞, 가압장 2개소, 유량계실 1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85% 공사 진행 중에 있으며, 금년 10월 완공예정입니다.
540페이지 신천지구 하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읍시가지 인근지역에 하수관로를 보급하는 사업입니다. ‘21년부터 ’23년까지 3년간 읍 신천리‧신관리 4개 마을에 사업비 54억 3,200만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5.73㎞, 중개펌프 3개소, 배수설비 193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안의면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안의면 시가지 외곽 이문‧신당마을과 수동면 북부지역인 상백과 내백‧금호마을에서 배출되는 생활용 하수를 안의공공하수처리시설에 유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3년까지이며 총사업비 125억 7,900만 원이며’ 22년 사업비는 16억 9,600만 원입니다. 주요사업내용은 안의공공처리장을 기존 900톤에서 300톤 추가 확충해서 1,200톤 용량으로 증설하고, 하수관로 8.5㎞를 설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542페이지 대포‧손곡지구 면단위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입니다.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에 의거, 남강댐 상류지역에 위치한 지역에 하수도시설을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23년까지 휴천면 대천리, 유림면 유평‧서주‧손곡리 일원 9개 마을에 사업비 95억 9,500만 원으로 하수처리시설 80톤, 하수관거 8.8㎞, 배수설비 232가수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농월정지구 하수도시설 설치공사입니다. 농월정 주변 관광지에 대한 수질개선을 위해 ‘23년까지 안의면 월림리 일원에 사업비 32억 1,100만 원으로 하수관거 7.5㎞, 배수설비 64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544페이지 휴천 문상지구 농어촌마을하수도 정비사업입니다. 지리산 엄천강으로 생활하수가 방류되고 있어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의거,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22년부터 ’24년까지 휴천면 문정리 문상‧문하‧백연마을에 사업비 33억 8,800만 원을 투입하여 하수처리시설 50톤, 하수관거 2.4㎞, 배수설비 129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설시설계 중에 있으며, 금년 내에 환경부 재원협의 등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자사업 운영입니다. 본 사업은 ‘15년부터 ’17년까지 민자사업으로 시공한 함양공공하수처리구역 내 관로정비사업에 대한 후속 운영사업입니다.
시설운영 위수탁기간은 ‘17년 9월부터 ’37년 9월까지 20년간이며, 총사업비는 600억 9,200만 원입니다. ‘22년도 사업비 29억 900만 원으로 관로정비 32㎞, 배수설비 3,191가구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하여 위탁업체에 임대료 및 운영비를 지급하는 내용입니다.
546페이지 공공하수시설 운영 및 정비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군에서 운영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 54개소에 대한 운영관리비, 공공요금, 수질검사비, 자동수질감시시스템 운영, 슬러지처리비, 총인처리시설운영비, 보수사업비 등 원활한 하수처리를 위한 사업입니다. 총사업비는 348억 8,000만 원이며, ‘22년도 사업비는 67억 1,700만 원입니다.
마지막으로 맑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함양군 정수장 운영관리입니다. 2022년 사업으로 함양정수장 및 서상정수장에 15억 2,000만 원을 투입하여 정수장 2개소, 배수지 16개소, 가압장 34개소에 대한 수질검사, 시설물 유지관리와 상수원보호구역 관리 등 원활한 정수처리로 수돗물 생산공급을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상 상하수도사업소 주요업무에 대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하단)
○의장 박용운 상하수도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시설사업소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등단)
○. 문화시설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1시00분)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반갑습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입니다.
문화시설사업소 2022년 군정주요업무계획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551~7페이지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책자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559페이지 군민과 함께하는 수준 높은 문화예술공연 유치입니다. 다양한 장르의 우수공연의 유치와 출향작가 초청전시 등으로 연중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문화예술회관 운영사업입니다.
사업비 4억 5,500만 원으로 우수공연 및 전시를 통해 지역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인근시군으로 영화 관람을 다니는 불편해소를 위하여 격주 토요일 비상설 영화관을 운영하여 생활 속 문화를 확산시켜 군민들에게 시공간적 문화혜택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560페이지 안전하고 편리한 문화기반시설 운영입니다. 문화기반시설의 환경개선과 주변볼거리제공을 통해 군민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복합문화공간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6억 1,100만 원으로 문화예술회관, 종합사회복지관, 박물관 등 시설물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1페이지 「문화가 있는 날」 문화놀이 장날 운영입니다. 문화가 있는 날은 일상생활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주간에 다양한 문화혜택을 제공하는 날로서, 공연 중심에서 복합문화행사로 연계하여 지역민들의 참여로 하는 행사입니다.
사업비 8,000만 원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상림일원에서 개최하고 있습니다.
562페이지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입니다. 2022년 문예회관과 함께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으로, 사업비 2억 1,100만 원으로 우수공연 프로그램 개최 및 공연콘텐츠 공동제작 배급을 통해 지역 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문화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사업으로, 공동제작 된 뮤지컬 “헤어드레서” 공연은 오는 11월에 2회 공연할 계획입니다.
563페이지 상림숲 보호 및 수목관리사업입니다. 천년의 숲 상림을 새로운 천년을 이어갈 건강한 숲으로 만들고자 상림의 생육환경 개선과 수목활력을 되찾기 위한 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2,000만 원이고 수형조절, 지지대 설치, 고사목 제거, 목책설치 및 숲모니터링을 통해 숲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564페이지 상림공원 시설유지‧관리사업입니다. 천년의 숲 상림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숲과 어울리는 쾌적한 기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 6억 7,600만 원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이용객의 편의증진과 여가문화공간으로 활용성을 높이고,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5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운영 및 광장 유지‧관리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애민정신과 지혜를 알리고 상림의 역사와 식생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환경 조성사업입니다.
사업비 9억 2,800만 원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상림고운광장, 이끼원, 음악분수대 등 상림주변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상림과 더불어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써 보존 및 활용가치를 높이도록 유지관리 하겠습니다.
566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평생학습기반 문화공간 조성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자취를 살리는 교육공간 마련과 체험프로그램으로 평생학습기반 문화공간 조성사업으로 사업비 9,200만 원으로 아름다운 한옥외관과 어울리는 내부시설을 개선하여, 7월부터 역사관 내 도서코너 책마당 운영과 고운기념관 내 신라의복체험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활성화를 통해 가치보존 및 홍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7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프로그램 「교실밖 창작소」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정신과 업적을 되새겨 미래에 함양을 빛낼 청소년을 위한 사업입니다. 오는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간 주말프로그램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및 고운광장에서 교실밖 창작소 운영을 할 계획입니다.
문화‧예술‧인문학 등 자기계발의 활동공간으로 청소년들의 끼와 재능을 발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 및 분야별 부스를 설치하여 활동을 지원하는 등, 최치원 역사공원 활성화프로그램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68페이지 어린이공원 및 군민의 종 유지‧관리사업입니다 어린이공원 및 군민의 종 시설 유지관리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놀이공간 및 쉼터조성을 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2억 9,800만 원으로 시설유지관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물놀이장은 2022년 6월에 개장 이후 현재 하루에 700여명의 방문객이 찾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시설입니다. 어린이시설 안전관리법에 준한 안전관리요원을 배치하고,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전문업체에 위탁관리 하고 있습니다.
569페이지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입니다. 인문‧교육‧복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2억 9,700만 원으로 2022년 상반기에는 39개 반 416명이 수강하였고, 8월에 하반기 프로그램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지식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군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기여하는데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570페이지 군민역량강화를 위한 평생학습 실현입니다. 군민모두가 함께하는 평생학습도시조성 및 평생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8,000만 원으로 성인문해교육, 군민자치대학, 평생학습 자격증반, 찾아가는 콜링클래스, 평생학습동아리 등 지역특성 및 수요를 반영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571페이지 함양박물관 운영사업입니다.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전‧전시함으로써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2억 5,300만 원으로 기획전시, 상설전시, 어린이박물관과 진로직업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572페이지 스마트박물관 구축사업입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텟 등 정보통신기술로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비대면 온라인전시플랫폼 구축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6,400만 원으로 2022년 2월부터 6월까지 시스템 구축 및 제작을 완료하였으며, 8월부터 스마트박물관시스템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소통방식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하고, 시대에 부응하는 함양박물관 운영에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시설사업소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하단)
○의장 박용운 문화시설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의사일정은 모두 마쳤습니다.
제4차 본회의는 7월 26일 오전 10시에 개의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10분 산회)
○재적의원(10명)
○출석의원(9명)
의 장 박용운
의 원 권대근
의 원 이용권
의 원 임채숙
의 원 서영재
의 원 김윤택
의 원 양인호
의 원 정광석
의 원 배우진
○출석공무원
부군수 강승제
행정국장 이현규
경제복지국장 홍화섭
안전건설국장 최인기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기획감사담당관 허훈
혁신전략담당관 박현기
행정과장 김해중
재무과장 박윤호
민원봉사과장 이선희
문화관광과장 전일옥
체육청소년과장 임흥산
일자리경제과장 차은탁
사회복지과장 최문실
주민행복과장 박혜경
산림녹지과장 유수상
환경위생과장 조무숙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보건소장 이혜숙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출석의회공무원
의회사무과장 이경목
의사담당주사 임락현
지방행정주사 김종협
○출석전문위원
기획행정위원회 전문위원 김진윤
산업건설위원회 전문위원 직무대리 장운식
○기록자
속기사 송종숙
본회의회의록 제3호
함양군의회사무과
일시 2022년 7월 22일(금)
장소 본회의장
날씨 맑음
의사일정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부의된 안건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
○.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 휴양밸리과 소관 업무보고
○. 농축산과 소관 업무보고
○. 친환경농업과 소관 업무보고
○. 농산물유통과 소관 업무보고
○.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 문화시설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0시00분 개의)
○의장 박용운 회의에 앞서 잠시 안내말씀 드리겠습니다. 우리 군수님과 정현철 부의장께서 다른 일정이 계셔가지고 부득이하게 지금 본회의에 참석을 못하였음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70회 함양군의회 임시회 제3차 본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1.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
○의장 박용운 의사일정 제1항, 군정주요업무 보고의 건을 상정합니다.
오늘은 건설교통과를 포함하여 8개과의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먼저 건설교통과장 나오셔서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를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등단)
○.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
(10시01분)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안녕하십니까? 건설교통과장 조영현입니다.
건설교통과 소관 군정주요업무 계획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339~45페이지까지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주요업무 26건에 대해 보고 드리겠습니다. 먼저 347페이지 1번, 주민숙원사업 시행입니다. 생활주변 시설물 정비로 군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81억 원의 사업비로 330여건의 사업을 연중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48페이지 2번, 지방도 1023호선(구양~월평) 정비사업업니다. 지리산 가는 길인 지방도 1023호 선상 오도재 구간이 겨울철 도로기능 상실로 통행불편과 군민들과 지리산을 찾는 관광객들이 불편해 하는 도로환경을, 터널개설사업으로 안전한 도로를 만들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지난해 경상남도 도로건설관리계획 ‘21~5년까지 5개년 계획에 반영되었습니다. 지속적으로 경상남도와 협의를 해 안전한 도로환경이 만들어지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다음은 349페이지 3번, 군도 확포장사업입니다. 지역균형개발을 위한 도로망 구축을 위해 12억 원의 사업비로 군도 21호선 서하송계~서상 노상간 도로를 보상 중에 있으며, 군도 7호선 지곡 공배~백일간 도로에 대해 설계 중입니다. 군도 17호선 안의대대~상원간 도로에 대해서는 타당성 조사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0페이지 4번, 농어촌도로 확포장사업입니다. 군민들의 생활편익증진을 위해 48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11개 노선의 도로를 정비하고 있습니다. 세부내역은 자료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351페이지 5번, 이은~난평간 도로확포장공사입니다. 본 사업은 함양읍 시가지 우회도로로써 지방도 1084호선을 연장해 국도 24호선과 잇는 공사입니다.
총사업비 180억 원이며, 도로확포장 2.5㎞입니다. 올해 예산 7억 원으로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2페이지입니다. 6번, 백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입니다. 백전면 경백리~양백리 7.91㎞구간 위천에 대한 하천재해예방사업을 위한 사업으로, 올해 5억 원의 예산으로 지구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3페이지입니다. 7번, 목현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입니다. 휴천면 목현리~호산리 2.2㎞ 구간 서주천‧고태천 일원에 대한 하천재해예방을 위한 사업으로, 올해 5억 원의 예산으로 지구지정을 위한 행정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다음은 354페이지입니다. 8번, 2021년 하반기 특별교부세 지원사업입니다. 하폭과 시설기준 미달인 교량을 재가설 하는 사업으로, 30억 원의 사업비로 마천면 등구마을의 등구교, 병곡면 월암마을의 월암교를 재가설 하기 위해 설계진행 중입니다. 조속히 발주될 수 있도록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55페이지입니다. 9번, 함양위천 생태하천 조성(이은지구)사업입니다. 하천 내 친수공간 조성과 재해예방을 위한 작년 이월사업으로, 10억 원의 사업비로 함양읍 이은리~용평리 일원 위천변 저수호안과 산책로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56페이지입니다. 10번, 덕전천 재해예방사업입니다. 재해로부터 안전한 하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사업으로 마천면 가흥리~삼정리 6㎞ 구간을 정비하는 사업으로,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설계와 행정절차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7페이지입니다. 11번, 소하천 정비사업입니다. 수해피해예방과 하천생태보전, 주민들의 생활편의를 위해 올해 30억 원의 사업비로 지곡 보각, 백전면 평정, 안의면 봉산, 3곳에 하천정비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8페이지입니다. 12번, 백현소하천 정비(특별교부세)사업입니다. 수해피해 예방을 위해 백전면 경백리 소재 소하천 740m를 정비하는 사업으로,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59페이지입니다. 13번, 함양위천 재해예방(특별교부세)사업입니다. 상림공원 옆 콘크리트 보인 대아보를 가동보로 개량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 7억 원의 사업비로 시공코자 현재 설계 완료하고, 행정절차로 문화재청과 현상변경허가를 협의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0페이지입니다. 14번, 일반하천정비사업입니다. 하천정비로 피해예방을 위해 안의면 삼산마을, 함양읍 기동마을, 지곡면 주암마을에 소규모지구하천 정비를 위해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축제와 호안 730m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61페이지입니다. 15번, 경지정리구역 기초생활인프라 구축사업입니다. 기존 경지정리구역에 대한 리모델링 사업으로써, 올해 93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19개소에 기계화 경작로 11㎞와 용수로 8㎞를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62페이지와 363페이지입니다. 16번, 일반농산어촌 개발사업입니다. 농촌마을의 생활환경정비와 소득기반시설 확충을 위한 것으로, 작년 이월예산으로 올해 예산과 함께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농촌중심지 생활사업으로 병곡면 송평리 일원, 기초생활거점 육성사업으로 안의면 소재지, 수동면 소재지 일원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농촌다움복원사업으로 마천면 군자리 일원 도마다랑이논 복원사업, 마을만들기사업으로 관내 10개소 마을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4페이지 17번, 농어촌취약지역 생활여건개조사업입니다. 농촌마을의 생활환경정비와 지역경관 개선사업으로, 올해 13억 원의 사업비로 관내 5개 지구에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5페이지 18번, 재해위험저수지 정비사업입니다. 영농편의와 안정적인 관계용수 공급을 위한 저수지 시설정비사업으로, 올해 17억 원의 사업비로 지곡면 정취, 서하면 거양, 서상면 송골 3개 저수지에 대해 정비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6페이지 19번, 농업생산기반시설 정비(도비보조)사업입니다. 노동력 절감을 통한 영농편의제공을 위해 올해 10억 원의 사업비로 논두렁설치 15㎞와 농배수로정비 3㎞를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7페이지입니다. 20번, 안의면 석천공영주차장 조성사업입니다. 안의면 소재지 일원 주차난 완화를 위한 사업으로, 11억 원의 사업비로 토지보상과 설계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9월경 사업착공 일정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다음은 368페이지 21번, 주차난 해소를 위한 공영주차장 확충 및 관리입니다. 주거밀집지역 내 공공유휴지를 활용한 소규모 주차공간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향후 관련사업 예산편성 요청 시 적극적으로 협조를 부탁드립니다. 주차시설로는 함양읍 시가지 노상주차장과 한들노외주차장을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369페이지입니다. 22번, 시외일반버스 천원 단일요금 시행입니다. 함양~인월~마천구간과 백전~인월구간의 시외일반버스 요금을 천 원으로 단일화해 군민들에게 교통이용편익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난 3월부터 시행하였습니다.
다음은 370페이지입니다. 23번, 한들생태환경주차장 운영관리입니다. 함양읍 시가지를 경유하는 국도 24호선 도로를 그동안 노상주차장으로 임시 사용하던 공간을, 본래의 목적인 간선교통시설로 복원하고, 한들 측으로 전용 노외주차장을 조성해 작년부터 공용하고 있는 주차장을 이용객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운영관리에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입니다. 24번, 한들거점센터 공영주차장 조성사업입니다. 전통시장 이용객들에 대한 주차편의를 위해 올해 32억 원의 사업비로 20면을 조성하기 위해 용지 등 보상과 설계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10월경 착공예정으로 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72페이지입니다. 25번, 안전지향 교통시설 인프라 확충 관리입니다. 교통안전시설물 확충 유지보수를 위한 사업으로, 7억 6,000만 원의 예산으로 연중 추진 중에 있는 사업입니다.
다음은 373페이지 마지막으로 26번, 대중교통 운영 안정화로 교통복지 증진입니다. 운수업체의 경영안정과 대중교통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 55억 원의 사업비로 벽지노선 손실보상 지원, 유가보조금 지원, 농어촌버스 단일화 손실보상금 지원, 버스‧택시 광고홍보비 지원, 교통약자 콜택시‧브라보 행복택시 운행 등 사업을 연중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상으로 지역균형개발과 군민들의 정주여건 제고를 위한 건설교통과 소관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하단)
○의장 박용운 건설교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산삼엑스포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산삼엑스포과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등단)
○.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10시14분)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입니다.
산삼엑스포과 소관 업무보고 드리겠습니다.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추진방향은 지면으로 대신하겠습니다.
381페이지입니다. 고품질 산양삼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사업입니다. 휴천면 월평리 일원에 2014년부터 27㏊ 규모의 산삼채종포 단지를 조성하고 있습니다. 부지와 기반시설은 완료를 한 상태이고, 지금은 고품질 우량종자와 모종을 생산해서 산삼농가에 집중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우리 산삼농가의 안정적인 소득증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잘 관리해 나가겠습니다.
382페이지 산양삼 생산을 위한 지킴이 활동입니다. 산양삼 지킴이는 공무원 2명과 민간인전문가 7명, 총 9명을 팀을 구성해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월 주1~2회씩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는데, 농가들 맞춤형 기술지도 등을 통해서 최적의 산양삼 품질관리에 기여하도록 하겠습니다.
383페이지 전국 유일의 산양삼 경매장 운영입니다. 산양삼 농가가 전국에서 참가하는 전국유일의 경매장입니다. 산림조합 주관으로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수요일에 운영하고 있습니다. 산삼유통시장 선점을 위해서 경매활성화와 그 규모 등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가겠습니다.
384페이지 산양삼 항노화 산업 활성화 추진입니다. 산양삼항노화 제품 수출용 포장재와 홍보마케팅, 판촉행사 등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산양삼 제품 인지도 향상과 자체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실질적인 성과가 나도록 추진하겠습니다.
385페이지 함양산양삼 브랜드 강화를 위한 홍보마케팅입니다. 시대의 트렌드에 부합하는 다양한 온-오프라인 홍보를 통해서 함양산삼 도시브랜드 이미지를 더욱 공고히 해나가겠습니다.
386페이지 산양삼산업의 농촌 신활력 플러스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019년도에 정부 공모를 통해서 사업비 70억을 받아서 2020년부터 추진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을 통해서 산삼농가와 산삼가공업체에게 필요한 생산기반시설을 제공하고, 전문인력 양성과 산업화를 위한 연구개발 지원, 산삼농가의 자체 역량강화 등 지속가능한 산양삼산업화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소기의 성과를 내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87페이지 호흡기질환 예방관리 제품개발입니다. 이 사업은 경상남도와 함양군, 임업진흥원이 공동 참여해서 경상대 산학협력단에 의뢰해서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3개년도 계속사업으로 금년도에 완료할 예정입니다. 호흡기질환 효능연구와 그 제품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민간분야에서 산양삼 산업화와 표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88페이지 산양삼특화산업진흥센터 건립지원입니다. 공공기관 유치사업으로써 상림공원 인근에 한국임업진흥원이 자체예산 99억 원을 투입해서 3층 규모의 공공청사를 짓고 있습니다. 금년 말까지 준공을 마치고 내년 상반기쯤에는 직원의 상주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389페이지 산양삼 산업화단지 등 효율적인 관리입니다. 산삼주제관과 산양삼 유통센터, 항노화관과 테마관 등에 대한 시설보완과 유지관리를 위한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4억 9,000만 원입니다. 건물유지보수와 파사드영상 및 경관조성 등을 통해서 쾌적한 시설관리가 되도록 하겠습니다.
390페이지 항노화테마원 주변 숙근초 군락지 조성입니다. 항노화테마원 일대에 사업비 1억 원을 들여서 다년생인 숙근초 군락지를 조성코자 합니다. 8월 중에 예정지에 대한 사전환경조사와 실시설계용역을 거쳐서 9월 중에 조성토록 하겠습니다.
391페이지 VR체험존과 항노화 체험관 운영입니다. VR체험장비는 산삼주제관 2층에 총 6대가 설치되어 있고, 항노화관에는 인바디, 뇌파측정기, 진공치료기 등 건강체험장비 8종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평일과 주말에는 요가와 명상, 오감체험, 헬스투어 등의 체험프로그램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치유와 힐링이 가능한 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서 군민과 방문객들에게 좋은 호응을 얻도록 하겠습니다.
392페이지 시군창의(웰에이징) 사업 추진입니다. 이 사업은 사업비 10억 원을 들여서 웰에이징을 주테마로 하여 건강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입니다.
‘18년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해오고 있는데 헬스투어 전문가 양성, 인재역량강화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393페이지 함양 산양삼 Welcome 농장 운영사업입니다. Welcome 농장 운영사업은 병곡면 원산리 일원에 부지 4,000여 평 규모로 도시민과 귀농인에게 산양삼체험 주말농장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9년도부터 총 12억을 투입하였습니다. 현재까지 도시민 61명, 귀농인 18명, 총 79명에게 농장을 분양해서 운영 관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금년도 제17회 산삼축제 개최입니다. 올해 산삼축제는 9월 2일부터 9월 11일까지 10일간 개최됩니다. 전년도에 열린 산삼엑스포 개최이후에 축제를 바라보는 군민눈높이가 한층 높아져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군민기대치에 부합하는 산삼축제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산삼엑스포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하단)
○의장 박용운 산삼엑스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휴양밸리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휴양밸리과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등단)
○. 휴양밸리과 소관 업무보고
(10시21분)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반갑습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입니다.
저희 휴양밸리과는 5개 담당에 저를 포함하여 공무원 19명과 공무직 3명, 기간제근로자 61명이 스카이랜드와 캠핑랜드 그리고 힐링관을 친절과 안전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하고 운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럼 휴양밸리과 2022년도 군정주요업무를 보고 드리겠습니다.
395페이지입니다.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로 갈음하고 2022년 주요업무계획 12가지에 대하여 핵심사항만 간략하게 보고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405페이지 군정주요업무계획 첫 번째, 고객만족 대봉휴양밸리관 운영입니다. 대봉휴양밸리관은 휴양밸리의 체계적인 통합운영 및 효율적 관리를 위한 컨트롤타워이자 방문객들의 최 관문으로써 휴양밸리를 찾아주시는 방문객들을 위한 주차장, 매표소, 식당, 카페, 셔틀버스 등 각종 편의시설과 포토존, 분수대, 각종체험 등 볼거리‧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변시설의 쾌적한 환경정비 및 안전한 시설관리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다시 찾고 싶은 휴양밸리가 되도록 운영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6월 30일 기준 약 4만 7,000명이 다녀갔습니다.
다음 406페이지 두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자산평가 및 운영손익분석입니다. 2021년 4월 21일에 개장한 함양대봉산휴양밸리의 자산평가 및 운영손익분석을 실시하여, 자산관리를 위한 토대마련 및 향후 운영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용역입니다.
용역내용은 대봉스카이랜드 및 캠핑랜드,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생태숲에 대하여 1년간의 분석이며, 올 6월에 착수하여 12월에 완료할 예정이고 용역비는 1,900만 원입니다.
다음 세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종합 홍보추진입니다. 함양군 대표 산악형 힐링체험 관광지 대봉산휴양밸리의 홍보활성화를 위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홍보사업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맞춤형 홍보 및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고려한 종합연계 홍보를 실시하고자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비는 1억 2,000만 원입니다.
그동안 대표적으로 홍보영상제작, 바이럴마케팅, 지하철 스크린도어 광고 등을 실시하였고, 앞으로도 방송매체 홍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적극적인 홍보로 전국 요소요소 방문객들에게 브랜드인지도를 높일 수 있도록 홍보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408페이지 네 번째, 선제적 안전사고 대응 CCTV관제센터 운영입니다. 각종 재난으로부터 휴양밸리 이용객의 안전 확보를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1억 5,000만 원이며, 관제센터 CCTV 178대에 대한 유지관리 계약과 상시모니터링을 위한 관제센터 직원 2명에 대한 유지보수 및 운영비 관련 예산입니다.
꼼꼼한 모니터링 관리로 대봉산휴양밸리 일원의 상시 안전한 관리와 시설의 체계적인 운영을 도모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다섯 번째, 대봉스카이랜드 무료 셔틀버스 운영입니다. 대봉스카이랜드 매표소에서 모노레일 하부승강장까지 5㎞구간에 대해서 관광객들의 안전한 이동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1억 7,500만 원입니다.
비수기 9개월은 2대, 성수기 3개월 7‧8‧9월은 3대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으며, 수시 차량점검으로 안전을 도모하고 차량 내 홍보영상 등을 통한 함양군과 휴양밸리 홍보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410페이지 여섯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시설 유지관리 및 정비사업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의 스카이랜드와 캠핑랜드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 사업으로, 사업비는 5억 8,000만 원입니다.
상시점검 및 신속한 보수로 대봉산휴양밸리를 찾는 탐방객들의 불편이 없도록 시설유지보수 및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일곱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철쭉군락지 보강사업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 일원 철쭉군락지 일부 고사로 인해 보강이 필요한 곳에 철쭉을 식재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3억 원입니다. 대봉산 철쭉 분포현황 및 생육상태 등 사전조사를 3월에 마쳤으며, 9월에 착공하여 11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 412페이지 여덟 번째, 대봉모노레일 비상 대피로 보완 및 설치사업입니다. 대봉모노레일 비상상황 발생 시 원활한 대피와 신속한 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0억 원입니다. 비상대피로 2.2㎞를 보완 및 설치할 계획이며, 모노레일 기초공사 22개소는 올 6월에 완료하였고, 금년도사업 2억 원으로 시급한 구간 피난보도 설치 652m에 대해서는 7월 중 착공하여 12월에 준공할 계획입니다.
다음 아홉 번째, 대봉스카이랜드‧대봉캠핑랜드 운영 관리입니다. 대봉스카이랜드‧대봉캠핑랜드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인력 및 시설 관리하는 사업으로 사업비는 28억 900만 원입니다.
모노레일‧집라인 정밀안전점검 등 유지보수비와 스카이랜드‧캠핑랜드시설 운영을 위한 각종 소모품구입비 그리고 기간제근로자 49명에 대한 인건비로 소요되는 사업입니다. 6월 30일 기준 8억 9,20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기간제근로자들의 높은 업무강도와 최저임금수준의 근무환경으로, 인력수급 애로가 있어 고용안정화 및 전문인력 육성이 절실한 사항입니다마는, 운행 시 안전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다음 414페이지 열 번째, 대봉모노레일 신규 차량구입니다. 방문객 증가로 인한 모노레일 탑승차량이 부족하여 탑승인원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는 7억 5,000만 원입니다.
모노레일차량 8인승 3대를 구입하여 어제 준공검사를 마쳤습니다. 마치고 8월부터 모노레일 3대를 추가하여 총 13대로 운행할 계획입니다. 3대 증가로 인하여 당초에 396명이었던 탑승인원은 147명이 추가되어 542명이 탑승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 열한 번째, 대봉산휴양밸리 휴양체험프로그램 운영입니다. 대봉산휴양밸리의 관광활성화 제고를 위한 사업으로 소원지 달기, 하바리움 소모품 만들기 등 체험프로그램 및 모바일 스탬프투어 운영을 위한 소모품 구입과 운영인력 2명에 대한 인건비로서, 사업비는 8,900만 원입니다.
스카이랜드체험과 모바일 스탬프투어는 상시 운영하고 있고, 캠핑랜드는 주말체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올해 6월 30일 기준 3,282명이 체험하여 약 82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다음 416페이지 마지막으로 열두 번째, 대봉힐링관 운영입니다. 환경성질환의 선제적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사업으로 환경성질환 예방 교육 및 체험프로그램, 건강체험존 운영, 개인 기초검사, 건강검사를 운영하기 위한 인건비와 운영비, 재료비 등을 위한 연간운영비로 사업비는 7억 1,000만 원입니다.
올해 4월 1일 개강하여 임시 운영 중에 있으며, 6월 30일 기준 985명이 체험하여 약 570만 원의 수입을 올렸습니다. 이번 하반기 인사로 간호직 공무원 1명이 증원되어 법적인 2명이 충족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을 추가하여 10월부터 정상운영을 할 계획입니다.
이상으로 휴양밸리과 2022년도 군정주요업무계획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하단)
○의장 박용운 휴양밸리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축산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등단)
○. 농축산과 소관 업무보고
(10시29분)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입니다.
농축산과 업무보고를 드리겠습니다. 책자 441페이지부터입니다.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449페이지의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451페이지 지리산자락 다랑이논 복원사업은 마천면 도마마을의 계단식 논을 대상으로 ‘23년까지 7억 3,800만 원을 투자하여 전통농법을 재현하고 보전하여, 농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농어촌지역 개발촉진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된 국가중요 농업유산 등재를 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452페이지입니다. 농지의 효율적 이용관리 지원사업과 453페이지 농업법인 운영실태 조사는 농지법에 의해서 매년 추진하는 사업이므로, 유인물을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54페이지입니다. 농어업인 수당지원은 경상남도 농어업인 수당지급 조례에 의해 금년에 처음으로 시행하는 사업으로써, 관내 농업‧어업‧임업경영체 등록자 1인당 연간 30만 원씩 지급하는 수당으로써, 금년 예산은 41억 2,800만 원으로 7월말까지 지급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455페이지 농업인 복지향상 지원사업은 농작물재해보험과 여성농업인 출산 바우처사업 등 6종의 사업에 총 57억 4,000만 원을 지원하고 있는 사업으로써, 상세한 내역은 책자를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57페이지 농업소득의 보전을 위한 직불사업은 세 가지로써 공익, 밭농업, 친환경농업에 대한 직접지불제도로써 금년예산은 145억입니다.
458페이지입니다. 소득특화자금 융자지원사업은 기금 총 115억 4,000만 원을 운영하여 농업인, 농업법인 및 단체를 대상으로 3,000만 원에서 1억 원까지 연리 1%로 융자 지원하는 사업으로써, 금년 상반기는 28명에게 7억 2,800만 원을 융자하였으며, 하반기에는 30억 원을 융자 지원할 계획으로, 8월말까지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459페이지입니다. 가축경매시장 현대화사업은 ‘23년까지 19억 6,000만 원의 사업비로, 하림축산폐수처리장 인근 용평리 915-210번지 일원에 1만 925㎡에 2,083㎡의 가축경매시장 건물을 신축하는 사업으로써, 함양산청축협에서 실시설계를 마쳤고 현재 경상남도의 계약심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9월에 착공하여 내년 4월에 준공할 계획으로 현재 착실히 추진되고 있습니다.
460~67페이지까지 8개 사업은 축산 분야 사업이므로 묶어서 일괄 보고 드리겠습니다.
우선 460페이지 축산경쟁력 강화 및 기반확충사업은 축산발전기금사업으로 우량암소 수정란 이식과 가금 및 양봉지원 등 4개 분야에 37개 사업이며, 461페이지 조사료 생산기반 확충사업에 7억 9,700만 원으로써 사일리지 제조비, 종자대 등 5개 사업 분야입니다.
462페이지 축산악취개선 및 청정축산환경조성 사업도 기금사업으로써 13억 4,000만 원으로 악취개선을 위해 환경개선제, 수분조절제 등 공급사업입니다.
최근 축사 인근지역 주민들의 축산악취 관련 민원이 계속 증가되고 있고, 내년부터는 사업 확대 수시단속 및 지도를 통하여 집단민원에 적극 대응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63페이지 축산종합방역소 건립사업은 앞에서 설명 드린 가축경매시장과 연계하여 ‘23년까지 5억 7,600만 원으로써 축산방역시설을 갖출 계획으로, 7월에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마치고 8월에 착공하여 금년 연말까지 완공하도록 하겠습니다.
464페이지 실외사육견 중성화 지원 사업은 7,800만 원으로써 개체 수를 조절해 나가고, 465페이지 아프리카 돼지열병, 조류독감,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예방사업은 25억 8,100만 원으로 우리 군내 가축전염병이 원천 차단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466페이지 쇠고기 이력제 및 축산물위생관리는 1억 6,500만 원, 467페이지 동물복지사업은 1억 6,400만 원으로 자세한 사항은 책자를 참고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468~71페이지까지는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사업으로 앞과 같이 묶어서 일괄 보고 드리겠습니다.
468페이지 귀농인을 위한 농지임대 지원사업은 농업경영체 등록한 귀농인이 농어촌공사를 통하여 임대차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임차료의 80%까지 최대 200만 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469페이지 귀농인 유치를 위한 빈집 리모델링은 비용의 80%를 최대 200만 원 한도 내에서 지원하고 있습니다.
470페이지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는 예비귀농인이 1년간 머물면서 귀농준비를 할 수 있는 사업으로써, 현재 지난 3월부터 30세대 44명이 입주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71페이지 귀농귀촌 유치 지원사업은 3억 3,000만 원으로써 농촌에서 살아보기, 귀농인의 집 운영 등을 통하여 귀농귀촌을 유도하는 사업으로, 우리군 인구늘리기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농축산과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하단)
○의장 박용운 농업기술센터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친환경농업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과장님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등단)
○. 친환경농업과 소관 업무보고
(10시36분)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입니다.
2022년 친환경농업과 주요업무계획 13건에 대한 보고를 드리겠습니다.
먼저 481페이지입니다. 농업현장 민원 신속대응체계 구축입니다. 농업인 편의를 위하여 박사‧석사‧식물보호기사 등 자격증 보유 11명의 직원이 수시로 농업현장을 방문하여 민원을 상담하고 있으며, 진단키트 등을 활용 병해충을 신속 진단하여 해결하고, 해결불가 시 농업기술원과 농촌진흥청에 의뢰하여 정밀분석 및 해결로 농업인 편의제공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다음 482페이지 양파 전 단계 기계화 우수모델 구축사업입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시범사업으로 2년간 44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하여 1차년도 사업은 줄기절단기 등 5종 35대를 공급하여 농가에서 사용 중에 있으며, 2차년도 사업은 금년 연말에 공모를 통하여 사업대상자를 선정, 양파기계화사업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483페이지 유기질비료 수요증가에 따른 지원확대입니다. 농가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국‧도비 지원 감소추세로 농가신청 물량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국‧도비 확보와 군비증액 등으로 부족물량확보에 주력하고 가축분 퇴비 품질향상에도 최선을 다해 나가겠습니다.
다음 484페이지 기후변화 대비 신소득 작목 발굴 육성입니다. 새로운 소득작목 발굴을 위하여 애플망고, 커피, 하미과 등의 시설 및 묘목 자재를 지원하여 자생력을 키우겠으며, 기술교육과 시범재배를 추진하고 지역적응성, 시장성 등을 평가 분석하여 향후 확대재배 등을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485페이지 상림경관단지 명소화입니다. 상림숲과 어울리는 다양한 볼거리 제공을 위하여 계절별 다양한 꽃을 식재 관리하고, 운영비 절감을 위하여 다년생 초화류 재배를 확대하겠으며, 산삼축제기간에 꽃을 볼 수 있도록 개화시기조절에도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은 486페이지 함양 쌀 품질고급화 및 농작업 생력화입니다. 고품질 기능성 쌀 생산을 위한 병해충 방제비를 지원하고, 생산비절감 벼 드문 모 재배확대와 벼 상토 및 모판을 지원하여 농촌고령화에 대응 노동력을 절감하겠으며, 병해충 신속대응체계 구축으로 쌀 품질을 고급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87페이지 명품 함양사과 지역브랜드 가치향상입니다. 680여 사과농가의 고품질 사과생산을 위하여 시설현대화사업을 추진하고, 생력기계화 보급을 통한 노동력을 절감하겠으며, 이상기후 대응 안정적 과수생산 자재지원으로 농가경영 안정과 명품브랜드 가치향상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음 488페이지 함양곶감 고소득 작목 육성입니다. 고품질 안정적 원료감 생산기반조성을 확대하겠으며, 건조장비 등 현대화 생산설비 지원으로 품질을 향상하고 생산이력제, 마케팅 강화 등을 통해서 고소득 작목으로 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89페이지 고품질 딸기 및 시설채소 경쟁력 제고입니다. 딸기재배시설 현대화 및 품질향상 자재를 지원하고, 스마트팜 기술활용 생산시범사업을 추진하겠으며, 고설재배시설과 에너지절감, 비가림재배시설을 확대하여 시설채소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490페이지 생활원예 체험프로그램 운영입니다. 유치원생‧초등학생, 희망주민 등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아열대식물원 견학과 화훼체험, 국화분재 교육을 실시하여 군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원예 활성화와 여가활용 기회제공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다음 491페이지 꽃 양묘장 운영 활성화입니다. 실증시범포에서 계절별 특색 있는 초화류 7종 60만 본을 생산하여 읍면 꽃길 꽃동산용으로 공급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아름다운 꽃길조성으로 쾌적한 농촌 환경조성에도 보탬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492페이지 함양양파 품질향상으로 명품화입니다. 연작장애 및 토양전염병 경감 소독제를 공급하고, 기계화를 통한 노동력 절감과 우량품종을 지원하겠으며, 양파저장성 향상 비교실험을 통하여 품질과 저장성을 향상하여 명품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493페이지 소득작물 스마트팜 재배시설 확대입니다. 스마트팜 큐브이용 쌈채소 생산시설을 시범지원하고 하우스 무인환경시설, 환경개선시설 등 시설개선을 통한 스마트팜 시설 확대로 농가경쟁력을 강화하겠으며, 향후 스마트팜 재배시설을 적극 확대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친환경농업과 소관 군정업무계획 보고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하단)
○의장 박용운 친환경농업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농산물유통과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과장님 나오셔서 보고해 주십시오.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등단)
○. 농산물유통과 소관 업무보고
(10시42분)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입니다.
농산물유통과 주요업무계획에 대해 핵심사항 위주로 간략히 보고 드리겠습니다.
497페이지부터인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유인물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505페이지입니다. 첫 번째, 미래 선진농업인 양성을 위한 맞춤형 교육입니다. 농업인의 의식개선과 핵심영농기술 교육을 통해 전문농업인을 양성해 나가는 사업으로, 향후 GAP 등 단기집중교육과 함양농업대학 등 중장기전문교육을 구분해 현 트렌드와 농업인의 요구에 부합되게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미래농업을 선도할 맞춤형 인재를 육성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두 번째, 함양농업 발전을 위한 농업인 단체 육성입니다. 농촌지도자회를 비롯한 6개의 농업인 학습단체에 대해 단체별 선택과 집중을 통한 육성을 위하여 농촌지도자회는 환경살리기에, 농업경영인회는 후계농 육성에, 여성농업인과 생활개선회는 봉사활동 등을 통한 여성농업인 위상제고에, 4H연합회는 미래농업을 이끌어나갈 역량강화를 위해 집중 지원함으로써 핵심단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세 번째, 미래농업 경쟁력 향상 위한 청년농업인 육성입니다. 대상은 만 45세 이하 농업인 771명입니다. 추진계획입니다. 청년농업인의 조기영농 정착을 위해 연령대별 농업경력별로 구분하여 지원육성 하고 있으며, 농업실습기회 제공, 청년농업인간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사업지원, 다양한 교육을 통한 온라인 판매지원 등을 통해 청년농업인이 조기에 정착하고 자립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네 번째, 함양군 농특산물 품질인증제 확대입니다. 함양군에서 품질을 보증할 수 있는 차별화된 명품브랜드를 육성해, 유통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기 위한 사업으로 금년도 대상품목은 사과, 양파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품질인증 농산물을 딸기와 복숭아 등으로 확대하고, 생산자 단체의 역량강화 교육병행 등을 통해 차별화된 명품농산물을 제 값에 판매할 수 있는 유통판매처확보와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섯 번째, 수출전략형 품목발굴로 수출경쟁력 강화입니다. 2022년 수출목표는 4,000만 불로 해외전략적 수출품목 발굴과 수출산업육성 및 지원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강화해 나감은 물론, 미국 함양군 페이스샵을 전진기지로 한 미주지역 수출확대, 해외마케팅을 통한 수출판로 확보로 내수시장 안정과 농가소득증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0페이지 농특산물 유통채널 다양화로 직거래 활성화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온-오프라인을 통한 농특산물 홍보와 판매를 확대하고, 로컬푸드 및 쇼핑몰 운영 활성화, 특판행사 및 박람회 수시참여 지원을 통해 다양한 국내외유통채널을 통한 직거래 활성화가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일곱 번째, GAP 인증확대로 신선농산물 신뢰 확보입니다. 현재까지 15개 품목 498농가가 GAP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향후 GAP인증확대 및 생산자 역량강화교육, 인센티브 지원사업 추진 등을 통해 소비자 신뢰의 지표가 되는 GAP인증을 확대함으로써 유통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여덟 번째, 고품질쌀 유통활성화 및 정부양곡의 안정적 관리입니다. 현재 15개의 정부양곡 창고에서 도정시설 관리 등을 통해 정부양곡을 안정적으로 보관하고 있으며, 향후 정부양곡 재고관리, 고품질쌀 브랜드화 및 유통지원을 통해 함양쌀 브랜드가치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아홉 번째, 함양 향토음식 보급으로 음식관광 활성화입니다. 본 사업은 향토음식을 발굴해 음식관광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업입니다.
향후 계획입니다. 농촌체험관광과 연계한 음식관광상품 개발과 홍보, 음식관광활성화를 위한 함양만의 특색 있는 음식개발 및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군민요리창업교육과 관련,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 교육을 수시 실시해 음식관광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4페이지 농촌생활 환경개선으로 삶의 질 향상입니다. 사업 분야는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등 4개 분야로, 향후 농업인 근로기본권 보장을 위한 쉼터 등 설치, 농작업 안전재해예방 및 환경 개선, 농촌여성능력개발 육성지원 등을 통해 활력 있는 농촌을 만들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열한 번째,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입니다. 발전잠재력이 있는 중소식품가공업체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식품제조장 신‧증축 위생설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향후 성장단계의 가공사업 지원, 농산물가공창업 실습교육 등으로 고부가가치 식품가공업체 육성을 통한 1차 농산물의 안정적 판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열두 번째, 농뚜레일과 함께하는 생기발랄투어 활성화입니다. 코레일 및 국내여행사와 연계한 농촌체험관광 유치를 위한 사업으로, 2022년 목표인원은 1,000명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매월 1회 이상 유치한 농뚜레일 관광지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수시투어상품을 보완, 발굴함은 물론 농특산물 판매와 연계한 농뚜레일 프로그램 운영을 확대함으로써, 함양군 홍보와 더불어 지역경제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열세 번째, 지역자원을 활용한 소득형 관광입니다. 사업내용은 농촌교육농장 육성, 농촌축제 개최, 관광시설 종사자의 역량강화입니다.
향후계획입니다. 지역특산물 등을 소재로 한 작은 축제 개최, 민박 등 관련업무 종사자에 대한 역량강화교육 등 안전한 농촌관광 기반마련을 통해 농촌마을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518페이지 맞춤형 농기계지원 및 농기계 순회수리반 운영입니다. 농업기계화를 통한 노동력 해소와 농업경영비 절감, 순회수리를 통한 농가편의를 도모하는 사업으로 향후 농기계지원사업 추진, 탄소중립을 위한 노후농기계 조기폐차 지원을 통해 농업경영비 절감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열다섯 번째, 고객중심 농기계 임대사업소 운영입니다. 현재 4개 권역별로 농기계임대사업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농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노후화된 임대 농기계 교체구입, 농기계배달서비스 운영 준비를 통해 취약농업인의 편의도모와 농업인이 만족할 수 있는 농기계임대사업소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농업인과 함께 성장하는 함양농업을 만들어 나가는 농산물유통과 주요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하단)
○의장 박용운 농산물유통과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상하수도사업소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등단)
○.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0시50분)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안녕하십니까?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입니다.
상하수도사업소 소관 2022년 군정주요업무 계획에 대하여 보고 드리겠습니다.
523페이지 기본현황과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책자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31페이지 주요업무계획에 대하여 보고 드리겠습니다. 광역마을상수도(유림지구) 설치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휴천면 동호마을과 유림면 손곡마을 등 13개 마을에 광역마을상수도시설을 설치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량은 정수시설 470톤, 취수시설 500톤, 배수시설 300톤, 송수관로 3.55㎞, 배수관로 19.52, 급수관로 12.09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총사업비는 109억 5,600만 원이 되겠습니다.
현재 취‧배수시설과 송‧배수 및 급수관로는 설치완료 했으며, 정수시설은 설치 중에 있습니다. 금년 10월말 준공을 목표로 현재 진도는 80%정도입니다.
532페이지 소규모수도 노후화시설 개량사업입니다. 수도관 노후로 인한 누수 등 문제로 인하여 노후관로를 교체하는 사업으로, 2011년부터 ‘22년까지 11개 읍면에 사업비 137억 2,200만 원을 투입하여 노후관로 149.3㎞를 교체하는 사업이며, 금년에 9개 마을 노후관로 29.1㎞를 교체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구축사업입니다. 수돗물 공급 과정에 ICT감시체계를 구축하여 사고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 시 신속대응이 가능하도록 인프라를 구축하는 내용입니다.
사업기간은 2023년까지이며 사업대상은 관내 지방상수도공급지역이며, 사업비는 40억 9,800만 원으로 실시간 수질‧수량측정, 긴급사항대비 시스템 구축 및 관망관리 사무실을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534페이지 수동하교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수질악화와 수량부족으로 생활불편을 겪고 있는 지역에 생활용수를 개발하는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22년 10월부터 ’24년 10월까지 수동 하교리‧내백리 일원에 사업비 37억 5,700만 원으로 관로 15.3㎞, 배수지 1개소, 가압장 4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8월경 행정절차를 이행하여 계획대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백전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2022년 6월부터 ‘25년 6월까지 3년간 백전면‧서하면 13개 마을에 94억 4,200만 원을 투입하여 관로 11.6㎞, 가압장 10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사업 착공하였으며 계획대로 추진토록 하겠습니다.
536페이지 지곡덕암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22년 8월부터 ’24년 8월까지 덕암리 일원에 사업비 10억 원으로 관로 4.2㎞, 가압장 1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실시설계 중에 있으며, 8월 중 행정절차를 이행하여 금년 내에 착공토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노후 상수관로 정밀조사 용역입니다. 사업기간은 ‘22년 10월까지로 지방상수도 공급지역에 대한 노후 상수관로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수질민원에 대비하고, 중장기 개선방안을 수립코자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는 1억 8,300만 원입니다.
538페이지 누수탐사 및 지방상수도 관망도작성 용역입니다. 우리 군의 상수도 유수율이 70%정도이며, 지방상수도 누수탐사 및 관망도 작성을 통해 상수도공급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사업으로, 2023년까지 서상‧서하‧안의면 일원에 9억 5,200만 원의 사업비로 누수탐사 113㎞, 관망도 84.2㎞를 작성하는 용역입니다.
다음 페이지 수동지구 농어촌생활용수 개발사업입니다. 수동 화산리~죽산리 일원에 사업비 45억 5,600만 원으로 관로 18.3㎞, 가압장 2개소, 유량계실 1개소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85% 공사 진행 중에 있으며, 금년 10월 완공예정입니다.
540페이지 신천지구 하수관로 설치사업입니다. 읍시가지 인근지역에 하수관로를 보급하는 사업입니다. ‘21년부터 ’23년까지 3년간 읍 신천리‧신관리 4개 마을에 사업비 54억 3,200만 원을 투입하여 하수관거 5.73㎞, 중개펌프 3개소, 배수설비 193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안의면 공공하수처리시설 확충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안의면 시가지 외곽 이문‧신당마을과 수동면 북부지역인 상백과 내백‧금호마을에서 배출되는 생활용 하수를 안의공공하수처리시설에 유입시켜 처리하기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사업기간은 ‘23년까지이며 총사업비 125억 7,900만 원이며’ 22년 사업비는 16억 9,600만 원입니다. 주요사업내용은 안의공공처리장을 기존 900톤에서 300톤 추가 확충해서 1,200톤 용량으로 증설하고, 하수관로 8.5㎞를 설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542페이지 대포‧손곡지구 면단위공공하수처리시설 설치사업입니다. 하수도정비 기본계획에 의거, 남강댐 상류지역에 위치한 지역에 하수도시설을 정비하는 사업입니다. ‘23년까지 휴천면 대천리, 유림면 유평‧서주‧손곡리 일원 9개 마을에 사업비 95억 9,500만 원으로 하수처리시설 80톤, 하수관거 8.8㎞, 배수설비 232가수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다음 페이지 농월정지구 하수도시설 설치공사입니다. 농월정 주변 관광지에 대한 수질개선을 위해 ‘23년까지 안의면 월림리 일원에 사업비 32억 1,100만 원으로 하수관거 7.5㎞, 배수설비 64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544페이지 휴천 문상지구 농어촌마을하수도 정비사업입니다. 지리산 엄천강으로 생활하수가 방류되고 있어 하수도정비기본계획에 의거,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으로, ‘22년부터 ’24년까지 휴천면 문정리 문상‧문하‧백연마을에 사업비 33억 8,800만 원을 투입하여 하수처리시설 50톤, 하수관거 2.4㎞, 배수설비 129가구를 설치하는 사업으로 현재 설시설계 중에 있으며, 금년 내에 환경부 재원협의 등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자사업 운영입니다. 본 사업은 ‘15년부터 ’17년까지 민자사업으로 시공한 함양공공하수처리구역 내 관로정비사업에 대한 후속 운영사업입니다.
시설운영 위수탁기간은 ‘17년 9월부터 ’37년 9월까지 20년간이며, 총사업비는 600억 9,200만 원입니다. ‘22년도 사업비 29억 900만 원으로 관로정비 32㎞, 배수설비 3,191가구 하수관로 유지관리를 위하여 위탁업체에 임대료 및 운영비를 지급하는 내용입니다.
546페이지 공공하수시설 운영 및 정비사업입니다. 본 사업은 군에서 운영 중인 공공하수처리시설 54개소에 대한 운영관리비, 공공요금, 수질검사비, 자동수질감시시스템 운영, 슬러지처리비, 총인처리시설운영비, 보수사업비 등 원활한 하수처리를 위한 사업입니다. 총사업비는 348억 8,000만 원이며, ‘22년도 사업비는 67억 1,700만 원입니다.
마지막으로 맑고 깨끗한 수돗물 공급을 위한 함양군 정수장 운영관리입니다. 2022년 사업으로 함양정수장 및 서상정수장에 15억 2,000만 원을 투입하여 정수장 2개소, 배수지 16개소, 가압장 34개소에 대한 수질검사, 시설물 유지관리와 상수원보호구역 관리 등 원활한 정수처리로 수돗물 생산공급을 위한 사업이 되겠습니다.
이상 상하수도사업소 주요업무에 대한 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하단)
○의장 박용운 상하수도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문화시설사업소 업무보고가 있겠습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나오셔서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등단)
○. 문화시설사업소 소관 업무보고
(11시00분)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반갑습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입니다.
문화시설사업소 2022년 군정주요업무계획을 보고 드리겠습니다.
551~7페이지 기본현황, 상반기 주요성과, 업무추진방향은 책자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559페이지 군민과 함께하는 수준 높은 문화예술공연 유치입니다. 다양한 장르의 우수공연의 유치와 출향작가 초청전시 등으로 연중 볼거리와 즐길거리가 있는 문화예술회관 운영사업입니다.
사업비 4억 5,500만 원으로 우수공연 및 전시를 통해 지역문화격차를 해소하고, 인근시군으로 영화 관람을 다니는 불편해소를 위하여 격주 토요일 비상설 영화관을 운영하여 생활 속 문화를 확산시켜 군민들에게 시공간적 문화혜택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560페이지 안전하고 편리한 문화기반시설 운영입니다. 문화기반시설의 환경개선과 주변볼거리제공을 통해 군민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복합문화공간을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6억 1,100만 원으로 문화예술회관, 종합사회복지관, 박물관 등 시설물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1페이지 「문화가 있는 날」 문화놀이 장날 운영입니다. 문화가 있는 날은 일상생활에서 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주간에 다양한 문화혜택을 제공하는 날로서, 공연 중심에서 복합문화행사로 연계하여 지역민들의 참여로 하는 행사입니다.
사업비 8,000만 원으로 4월부터 11월까지 매월 마지막 주 토요일에 상림일원에서 개최하고 있습니다.
562페이지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입니다. 2022년 문예회관과 함께하는 방방곡곡 문화공감 사업으로, 사업비 2억 1,100만 원으로 우수공연 프로그램 개최 및 공연콘텐츠 공동제작 배급을 통해 지역 간 문화격차를 해소하고 문화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사업으로, 공동제작 된 뮤지컬 “헤어드레서” 공연은 오는 11월에 2회 공연할 계획입니다.
563페이지 상림숲 보호 및 수목관리사업입니다. 천년의 숲 상림을 새로운 천년을 이어갈 건강한 숲으로 만들고자 상림의 생육환경 개선과 수목활력을 되찾기 위한 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2,000만 원이고 수형조절, 지지대 설치, 고사목 제거, 목책설치 및 숲모니터링을 통해 숲과 사람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하고, 천연기념물로서의 가치구현을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564페이지 상림공원 시설유지‧관리사업입니다. 천년의 숲 상림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숲과 어울리는 쾌적한 기반시설을 제공하기 위한 사업으로, 사업비 6억 7,600만 원으로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해 이용객의 편의증진과 여가문화공간으로 활용성을 높이고,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5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운영 및 광장 유지‧관리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애민정신과 지혜를 알리고 상림의 역사와 식생을 체험할 수 있는 문화환경 조성사업입니다.
사업비 9억 2,800만 원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상림고운광장, 이끼원, 음악분수대 등 상림주변시설물 유지관리를 통해 상림과 더불어 대표적인 관광자원으로써 보존 및 활용가치를 높이도록 유지관리 하겠습니다.
566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평생학습기반 문화공간 조성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자취를 살리는 교육공간 마련과 체험프로그램으로 평생학습기반 문화공간 조성사업으로 사업비 9,200만 원으로 아름다운 한옥외관과 어울리는 내부시설을 개선하여, 7월부터 역사관 내 도서코너 책마당 운영과 고운기념관 내 신라의복체험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활성화를 통해 가치보존 및 홍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567페이지 최치원 역사공원 프로그램 「교실밖 창작소」사업입니다. 최치원 선생의 정신과 업적을 되새겨 미래에 함양을 빛낼 청소년을 위한 사업입니다. 오는 9월부터 10월까지 2개월간 주말프로그램으로 최치원 역사공원 및 고운광장에서 교실밖 창작소 운영을 할 계획입니다.
문화‧예술‧인문학 등 자기계발의 활동공간으로 청소년들의 끼와 재능을 발굴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 및 분야별 부스를 설치하여 활동을 지원하는 등, 최치원 역사공원 활성화프로그램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68페이지 어린이공원 및 군민의 종 유지‧관리사업입니다 어린이공원 및 군민의 종 시설 유지관리를 통해 어린이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놀이공간 및 쉼터조성을 하는 사업으로, 사업비 2억 9,800만 원으로 시설유지관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어린이물놀이장은 2022년 6월에 개장 이후 현재 하루에 700여명의 방문객이 찾는 좋은 반응을 얻고 있는 시설입니다. 어린이시설 안전관리법에 준한 안전관리요원을 배치하고,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전문업체에 위탁관리 하고 있습니다.
569페이지 종합사회복지관 운영입니다. 인문‧교육‧복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운영하고 있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2억 9,700만 원으로 2022년 상반기에는 39개 반 416명이 수강하였고, 8월에 하반기 프로그램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지식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군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기여하는데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570페이지 군민역량강화를 위한 평생학습 실현입니다. 군민모두가 함께하는 평생학습도시조성 및 평생 배움의 기회를 확대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8,000만 원으로 성인문해교육, 군민자치대학, 평생학습 자격증반, 찾아가는 콜링클래스, 평생학습동아리 등 지역특성 및 수요를 반영한 학습자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571페이지 함양박물관 운영사업입니다.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보전‧전시함으로써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전시 및 체험프로그램을 통한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사업비 2억 5,300만 원으로 기획전시, 상설전시, 어린이박물관과 진로직업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572페이지 스마트박물관 구축사업입니다. 인공지능, 사물인터텟 등 정보통신기술로 언제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비대면 온라인전시플랫폼 구축사업입니다.
사업비 1억 6,400만 원으로 2022년 2월부터 6월까지 시스템 구축 및 제작을 완료하였으며, 8월부터 스마트박물관시스템서비스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새로운 소통방식과 첨단기술을 활용한 문화향유기회를 확대하고, 시대에 부응하는 함양박물관 운영에 최선을 다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문화시설사업소 업무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하단)
○의장 박용운 문화시설사업소장 수고하셨습니다.
이상으로 오늘 의사일정은 모두 마쳤습니다.
제4차 본회의는 7월 26일 오전 10시에 개의하겠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1시10분 산회)
○재적의원(10명)
○출석의원(9명)
의 장 박용운
의 원 권대근
의 원 이용권
의 원 임채숙
의 원 서영재
의 원 김윤택
의 원 양인호
의 원 정광석
의 원 배우진
○출석공무원
부군수 강승제
행정국장 이현규
경제복지국장 홍화섭
안전건설국장 최인기
농업기술센터소장 김성진
기획감사담당관 허훈
혁신전략담당관 박현기
행정과장 김해중
재무과장 박윤호
민원봉사과장 이선희
문화관광과장 전일옥
체육청소년과장 임흥산
일자리경제과장 차은탁
사회복지과장 최문실
주민행복과장 박혜경
산림녹지과장 유수상
환경위생과장 조무숙
건설교통과장 조영현
산삼엑스포과장 손기욱
휴양밸리과장 소창호
보건소장 이혜숙
친환경농업과장 라상우
농산물유통과장 이영희
상하수도사업소장 염희생
문화시설사업소장 김연옥
○출석의회공무원
의회사무과장 이경목
의사담당주사 임락현
지방행정주사 김종협
○출석전문위원
기획행정위원회 전문위원 김진윤
산업건설위원회 전문위원 직무대리 장운식
○기록자
속기사 송종숙
프로필
- 발언자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