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7회 함양군의회(정례회)

산업건설위원회 회의록

제6호
함양군의회사무과

일시 2017년 12월 7일(목)
장소 산업건설위원회실
날씨 흐림

의사일정
1. 2018년도 당초예산 세입세출예산안

심사된 안건
1. 2018년도 당초예산 세입세출예산안(군수 제출)
○.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소관 예산안 제안설명(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 검토보고(전문위원 배성훈)
○. 질의 및 답변
○. 산림녹지과 소관 예산안 제안설명(산림녹지과장 백승우)
○. 검토보고(전문위원 배성훈)
○. 질의 및 답변

(10시03분 개의)

○위원장 박용운 시작하겠습니다. 성원이 되었으므로 제237회 함양군의회 제2차 정례회 중 제6차 산업건설위원회 회의를 개의하겠습니다.
  먼저 회의 하기 전에 안내말씀 드리기겠습니다.
  우리 위원회 유성학 위원께서 오늘 병원 내진 일정이 있어서 오늘 심사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 점 널리 양해 바랍니다.
  오늘은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산림녹지과 소관 예산안에 대하여 심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 2018년도 당초예산 세입세출예산안(군수 제출)
(10시04분)

○위원장 박용운 의사일정 제1항 2018년도 당초예산 세입세출예산안을 상정합니다.
  먼저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소관 제안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은 나오셔서 제안설명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발언대에 오름)

○.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소관 예산안 제안설명(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제안설명을 드리겠습니다.
  347페이지 산삼항노화엑스포과 내년도 예산은 73억 5577만 5천 원이 되겠습니다.
  348페이지 산양삼 산업육성-산양삼 기반조성-산삼 활성화-101 인건비-04 기간제근로자등보수가 7722만 9천 원으로서 산양삼 사무관리원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201 일반운영비-01 사무관리비 4740만 원은 산양삼 홍보마케팅 행사운영비 그리고 산양삼 업무 관련한 공공운영비 등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202 여비 8백만 원은 박람회 참석 등 공무원 출장여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203 업무추진비 150만 원은 부서 시책추진에 따른 업무추진비가 되겠습니다.
  206 재료비 4천만 원은 산양삼 시범단지 종자용 채종 종자 구입비가 되겠습니다.
  301 일반보상금 3천만 원은 각종 박람회 참석과 그리고 산양삼지킴이 활동, 산양삼 생산적합성 검사수수료 등이 되겠습니다.
  308 자치단체등이전 4천만 원은 한중일 서복 국제학술행사 개최에 따른 경남발전연구원 위탁사업비가 되겠습니다.
  401 시설비및부대비 6천만 원은 산삼축제 캐기체험장 조성과 대봉산 산양삼체험단지 감시카메라 설치비가 되겠습니다.
  402 민간자본이전 1억 3500만 원은 산양삼 농가 종자 지원사업과 미생물제 지원사업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403 자치단체등자본이전 6500만 원은 산양삼 기능성 등록 지원사업과 풀뿌리기업 육성사업 지원이 되겠습니다.
  지역단위 6차산업 활성화 지원 12억 원은 농식품부에서 지원하는 산양삼 6차산업지구 조성사업 예산으로서 02 민간경상사업보조에 9억 2천만 원 그리고 402 민간자본이전에 2억 8천만 원 등이 되겠습니다.
  본 사업은 내년이 3년차 사업이 되겠습니다.
  351페이지 산양삼 생산과정 확인입니다.
  101 인건비 3억 1천만 원은 산양삼 생산이력제 산림청 보조사업으로서, 생산이력제 관리와 시범단지 관리에 따른 인건비와 지킴이활동 경비 등이 되겠습니다.
  352페이지 일반운영비-01 사무관리비 4544만 원은 생산이력제 운영 사무관리비가 되겠습니다.
  202 여비 2천만 원은 임업진흥원 품질검사 및 생산이력제 현장확인에 따른 직원 출장여비가 되겠습니다.
  206 재료비 3880만 원은 산양삼 시범단지 종자 구입비와 미생물제 구입 민간보조가 되겠습니다. 아, 미생물제 구입은 행정 직영사업이 되겠습니다.
  401 시설비및부대비 5천만 원은 산양삼 시범단지 기반 조성에 따른 사업비가 되겠습니다.
  353페이지 시군창의사업 산삼활력화사업 2억 4200만 원은 국비가 70% 지원되는 농식품부 공모사업이 되겠습니다.
  산삼캐기 체험장 조성 및 프로그램 상설운영에 따른 사업이 되겠습니다.
  201 일반운영비-사무관리비에 850만 원을 계상하였고, 307 민간이전-02 민간경상사업보조에 2억 335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354페이지 항노화산업 추진-201 일반운영비 4400만 원은 주민역량 강화 및 홍보마케팅과 항노화포럼 운영 예산이 되겠습니다.
  202 여비 540만 원은 항노화 업무추진 여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301 보상금 2백만 원은 역량강화 보상금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402 민간자본이전 2억 1천만 원은 532 항노화마을 조성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시군창의 심마니사업 4억 2천만 원도 국비가 70% 지원되는 농식품부 공모사업이 되겠습니다.
  이 부분도 심마니 역사문화를 조성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지난달에 완공한 대봉산 소망바위 정비 하고, 마천 추성 서복 솔숲 목교공사 이 부분이 해당되겠습니다. 내년이 3년차 마무리 예산 4억 2천만 원이 편성된 것입니다.
  355페이지 01 시설비하고 03 시설부대비까지 본 사업에 포함되는 내용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시군창의 함양 항노화 하이웨이 프로젝트 6억 4500만 원도 국비가 70% 지원되는 농식품부 공모사업이 되겠습니다.
  이 사업은 고속도로 휴게소 농특산물판매장과 그리고 상림공원에 ICT 항노화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본 사업은 355페이지 하단부까지 해당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308 자치단체등이전-10 공기관등에대한경상적위탁사업비 5300만 원은 웰니스관광과 상생 일자리사업으로서, 경남도 항노화주식회사 위탁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시군창의 웰에이징사업 3억 4400만 원도 국비가 70% 지원되는 농식품부 공모사업이 되겠습니다.
  본 사업은 항공 여행업체에 우수여행상품으로 선정된 우리 군 웰니스관광사업하고 연계해서 내년부터 체류형 관광객을 유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현재 건립 중인 주제관하고 유통센터에는 VR을 설치하고 그리고 산삼단지 항노화식품 그리고 우리 관내에 있는 휴양시설을 활용한 교류관광 프로그램을 운영할 그런 소프트웨어사업이 되겠습니다.
  기존 시설물에 대한 알찬 콘텐츠를 구성해서 활용도를 높이고, 그리고 관광사업을 활성화시키는 그런 사업으로 추진하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산삼엑스포 부분이라든가 또 산삼휴양단지나 이런 부분은 하드웨어 쪽은 어느 정도 구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이걸 활용해 가지고 시너지를 높일 수 있는 소프트 쪽으로 사업을 구상하고 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입니다. 산삼엑스포 기반조성-307 민간이전-산삼데이 행사지원에 1500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산삼축제 지원-201 일반운영비-01 사무관리비 2억 8520만 원은 엑스포 준비를 위한 박람회 참석과 그리고 기념품 제작비, 산삼축제 항노화체험장 운영과 축제 블로그 통합마케팅 그리고 홍보물 제작, 축제기간에 셔틀버스 운영 등 사업 부분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행사운영비 4천만 원은 축제기간에 숙박형 휴양관광을 유치하고, 대도시권 산삼판매장 운영과 축제 부분의 행사 등의 예산이 되겠습니다.
  207 연구개발비 2천만 원은 산삼축제 평가 용역비가 되겠습니다.
  301 일반보상금-09 행사실비보상금 1200만 원은 선진지 벤치마킹 및 워크숍 참석자 보상금이 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 11 기타보상금 750만 원은 산삼축제 공모전 시상금이 되겠습니다.
  307 민간이전 8억 원은 2018년 산삼축제 행사비로서 축제위원회에 지원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401 시설비및부대비-04 행사관련시설비 2억 7천만 원은 산삼축제 각종 판매장 조성과 2020엑스포에 대비한 심마니 역사문화 체험장 운영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항노화 행사운영 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축제기간에 운영하는 항노화체험장을 조성하는 이런 사업도 되겠습니다. 이 부분은 행정에서 직접 추진하는 그런 행사성 시설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2020년 엑스포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내년부터는 축제도 좀 규모화가 되어야 되고, 특히 항노화 부분도 좀 강화되어야 됩니다. 그리고 축제기간도 금년부터 5일에서 10일로 늘리다 보니까 상당히 축제예산이 부족해 가지고 위원회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는데, 현재 전국적으로 알려진 축제는 대부분 예산이 20억이 넘는 그런 현실입니다.
  저희들도 내년 축제예산 증액에 대해서는 상당히 참 고민을 했습니다마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가지고 부득이하게 이걸 좀 상향조정 하였습니다.
  그리고 엑스포 추진-201 일반운영비 7924만 원은 엑스포 홍보 및 전문가 초청 강연, 자문료 등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202 여비 1450만 원은 엑스포 준비를 위한 여비가 되겠습니다.
  359페이지 03 시책(추진)업무추진비 150만 원은 엑스포과 주요업무 추진에 따른 업무추진비가 되겠습니다.
  301 일반보상금 4천만 원은 엑스포 개최에 따른 민간인 현장견학 실비보상금이 되겠습니다. 참고로 말씀드리면 이 현장견학 보상금은 엑스포 승인 후에는 엑스포조직위원회에 급량비와 보상금으로 들어갈 예정입니다.
  그리고 산양삼 산업화단지 조성-401 시설비및부대비 6800만 원은 산업화단지 및 유통센터 감리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산양삼 산업화단지 등 관리-101 인건비 5136만 9천 원은 시설물 관리에 따른 안내요원 등 인건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일반운영비 9232만 1천 원은 전시장 및 판매장 등을 운영하는 데 따른 소요경비, 복사기 임차, 무인경비시스템 등과 같은 예산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상림에 건축 중인 산업화단지 전체시설 운영기본계획은 지난번 11월 9일 간담회 때 보고 드린 바와 같이 주제관 입장료나 그리고 유통센터 임대료 등을 활용해서 시설을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마는 시설운영이 정착되기까지 약 1년 6개월 정도는 운영비 일부가 소요되어야 될 사항입니다. 그리고 내년도 하반기에 판매장 60개소에 대한 임대료는 그 수입으로 100% 저희들이 부담하겠습니다. 그리고 2019년부터는 주제관 AR 체험 등 입장료와 유통센터 임대료 수입 등으로 운영이 자체적으로 가능할 것으로 그렇게 판단되고 있습니다.
  360페이지 405 자산취득비 810만 원은 산업화단지 관리사무실 운영을 위한 책상 등 비품구입비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임산물 항노화 테마원 조성사업은 지난 9월 5일 그리고 11월 9일 군의회 간담회 때 보고를 드린 그런 사업이 되겠습니다.
  현재 건립 중인 산양삼 주제관과 필봉산을 연계해서 지난번 산삼축제 통합축제의 저잣거리를 조성하고, VR테마길과 오감체험장 등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서 상림공원을 머무르는 관광으로 활성화시키고, 2020년 엑스포 기반을 구축하는 사업으로 이해하시면 고맙겠습니다.
  총사업비는 35억 원으로서 도비가 18억, 군비가 17억이 되겠습니다. 내년도 예산은 10억 원으로서, 401 시설비및부대비-01 시설비가 9억 9373만 9천 원이고, 03 시설부대비가 626만 1천 원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엑스포 기반시설 조성-401 시설비및부대비 3억 216만 원도 지난 11월 9일 군의회 간담회 때 보고를 드린 그런 사항이 되겠습니다.
  현재 건립 중인 엑스포 주제관과 유통센터, 안마체험장 등의 이 시설물이 하나의 브랜드로서 관광상품화 되도록 심블마크하고 종합안내패널 그리고 야간 조명 등을 설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행정운영경비 5971만 6천 원은 2018년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운영에 소요되는 예산으로서, 다음 페이지 01번 연결되겠습니다. 사무관리비 3151만 6천 원 그리고 202 국내여비에 2520만 원을, 그리고 203 업무추진비에 3백만 원을 계상하였습니다.
  저희 산삼항노화엑스포과는 우리 군의 재정이 열악함을 감안해서 국비 위주의 공모사업 확보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렇지만 엑스포를 2년 앞둔 시점에서 부득이 군비 사업도 추가로 계상하게 되었음으로 혜량하여 주시고, 2020년 엑스포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위원님들의 지속적 배려를 당부 드리면서 제안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발언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음)
○위원장 박용운 과장님 수고했습니다.
  다음은 전문위원 검토보고 순서입니다. 전문위원 보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전문위원 배성훈 발언대에 오름)

○. 검토보고(전문위원 배성훈)
(10시18분)

○전문위원 배성훈 상임위원회 산업건설위원회 전문위원 배성훈입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소관 2018년도 당초예산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검토보고 드리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유인물을 참고하시면 고맙겠습니다.
  17페이지입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예산은 전년 대비 22.74%가 감소한 73억 5577만 5천 원입니다.
  18페이지입니다. 주요증감 내역 및 신규사업입니다.
  5천만 원 이상에 대해서만 작성했습니다.
  증액편성 주요요인은 산삼 활성화사업 1억 4790만여 원 외 10개 사업입니다. 그 이하는 유인물을 보십시오.
  그리고 감액편성 주요요인은 항노화산업 추진 2억 3240만 원 외 1개 사업입니다.
  전문위원이 주요 검토한 사항입니다.
  산삼 활성화 348페이지인데, 활성화와 산양삼 생산과정 확인은 계속 진행된 사업으로서 유인물을 참고하시고 보고를 생략하겠습니다.
  그리고 19페이지 맨 상단입니다. 시군창의 산삼활력화입니다. 지특회계 신규사업으로 산삼활력화 추진을 위하여 중간조직 역량 강화, (함양산양삼) 명인 인증제 등을 위해 편성하였습니다. 여기 사업내용에 대해서 좀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시군창의 함양항노화 하이웨이 프로젝트 여기도 마찬가지로 신규사업입니다. 신규사업으로서 하이웨이 프로젝트 개발, 웰니스 운영 프로그램, 팸투어사업, 서비스 인력 양성사업 등을 위해 편성하였습니다.
  함양항노화 하이웨이 프로젝트인 만큼, 또 여기에 적히지는 않았지만 특별히 인기 있는 내래이션(해설)으로 특별하게, 최불암이나 이런 인기 있는 사람들, 설명자료도 있어야 될 것 같고, 여기에 대해서도 어떤 사업인지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 다음에 시군창의 웰에이징입니다.
  지특회계, 여기도 마찬가지로 지특회계 신규사업입니다.
  웰에이징, 웰에이징이란 건강하고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을 유지하면 잘 늙어가는 것인데, 웰에이징의 사업목적과 여기의 사업과 비교성을 한번 검토할 대상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세부적으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산삼축제 지원입니다.
  여기는 축제 지원하고, 축제 지원은 유인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산양삼 산업화단지 조성 자체사업입니다.
  산양삼 산업화단지 및 유통센터 조성사업 공사기간이 4개월 연장되어 감리비 6800만 원을 편성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전년도 대비해서 13억 3200만 원이 감액되었습니다. 이 감액된 데 대해서도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산양삼 산업화단지 등 관리입니다.
  여기에서 산양삼이 완성이 다 되어 가니까 이런 내용이 있는 것 같습니다. 산양삼 주제관 안내요원 및 판매점 청사관리 인건비, 산삼 전시관, 판매장, 체험관 등 뭐 비품취득비로서 신규로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그리고 20페이지 다음 장입니다. 또 임산물 항노화 테마원 여기도 신규사업입니다. 신규사업인데, 상림공원 일원에 임산물 역사문화체험장 1천㎡, 오감체험장 5개소, 불로장생 VR 테마길 등을 위해서 하는 사업입니다. 사업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규사업입니다. 함양읍 교산리 정수장 일원, 정수장 들어가는 입구에 엑스포 기반시설 디자인 표준화사업과 경관 조경사업에 추가로 설치하는 사업입니다.
  조경 등 이런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또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이상 전문위원 검토보고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전문위원 배성훈 발언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음)

  (참 조)
  - 2018년도 당초예산 세입세출예산안 검토보고서는 부록에 실음.

○위원장 박용운 전문위원 수고하셨습니다.

○. 질의 및 답변
(10시24분)

○위원장 박용운 다음은 질의․답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348~353페이지 제일 하단부까지, 353페이지까지 검토하시고 질의하실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황태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황태진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황태진 위원 방금 전문위원님 검토보고상에 설명이 필요한 것은 과장님께서 그 설명부터…
○위원장 박용운 그럴까요?
황태진 위원 예. 하고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과장님, 나오셔서 전문위원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설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발언대에 오름)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시군 창의 산삼활력화사업이, 이제 저희들 업무보고에도 보면 산삼체험장 조성사업 시군 창의사업이 되겠습니다.
  이 사업은 농림축산식품부 공모사업입니다. 국비 70% 보조되는 사업인데, 지역창의 아이디어사업 해 가지고 아이디어 가지고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그래서 여기는 저희들이 산삼체험장을, 상설체험장으로 하나 조성한다고 그렇게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걸 조성하게 되면 거기에 외부 관광객들이 투어를 하게 되면 산삼캐기체험도 하고, 거기에 옛날에 심마니 역사문화, 기도도 해보고 또 그런 심마니 같은 옷도 입고 사진도 찍어서 SNS에 올리고 이렇게 하는 사업이 되고, 또 그걸 운영하고 홍보하는 예산 그렇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두 번째 시군 창의 항노화 하이웨이 프로젝트 이 부분은 저희들이 업무보고 드릴 때 ICT 항노화 종합홍보센터 조성사업으로 보고를 드렸습니다.
  이 사업도 농식품부 공모사업입니다. 국비가 70% 보조되는 창의 아이디어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고속도로 휴게소 보면 산삼골휴게소가 있고, 또 지금 유통센터를 상림공원에 짓고 있습니다. 여기에 홍보 기반을 하는 겁니다.
  여기에 보면 ICT 통합홍보를 위해서 웹상으로 이런 것도 구축하고, 그리고 로컬푸드 해 가지고 거기에 홍보할 수 있는 그런 공간도 지금 마련할 겁니다. 그리고 예를 들어서 주제관 1층에 들어가다 보면 아무래도 주제관 그것만 가지고는 입장료를 받고 운영하는 데는 프로그램에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면 거기 1층에 함양의 산삼역사문화라든가 함양의 지역관광을 알릴 수 있는 VR체험시설 2개, 2,3개 설치하는 이런 사업도 같이 연계가 되겠습니다. 이런 사업으로 연계가 되고, 여기에 또 보면 홍보 부분을 여기에 같이 넣습니다. 운영하는 사람들 교육도 시키고, 이 시설에 대한 홍보도 같이 하는 그런 사업으로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에 시군 창의 웰에이징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저희들 532 항노화마을을 지금 추진하고 있습니다. 군민 위주로 저희들이 작년에 이어서 올해…, 아, 올해에 이어서 내년, 내후년까지 하는데, 이 사업에 대해서 추진을 하면 여기에 대해서 이걸 가지고 같이 연결시켜줘야 됩니다. 외부 관광객들이 여기에 가서 또 물품도 사야 되고, 여기에 홍보도 해줘야 되고 또 마케팅도 도와줘야 됩니다. 그리고 특히 저희들이 올해 웰니스관광에 하나 선정된 게 있습니다, 프로그램이.
  몇 년 전에 프로그램 의료관광이 선정되었는데 이 부분이 내년부터 저희들 운영할 계획입니다. 연간 계획은 3천 명이 계속 장기체류형으로 할 겁니다. 그래서 그 회사도 지금 선정되어 있는데, 여기에 따른 운영을 하는 부분도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사업은 함양군에서 지금 추진하고 있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시설을 항노화하고 연계해 가지고 소프트를 연계해서 관광으로 연결시키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다음에 산삼산업화단지 조성에 보면 6800만 원 그 부분은, 13억 2천만 원 감액 편성이 된 부분은 이 사업이 내년이 3년차…, 올해가 사실 3년차 사업입니다. 그러다 보니까 금년으로 사업이 종료가 됩니다. 그래서 종료가 되기 때문에 작년에 예산이 편성되어서 더 이상은 예산이 감액되는 그런 부분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부득이 이월은 내년 3월까지 이월을 시킨 상태입니다. 그래서 금년에 마무리가 되기 때문에, 추가 편성이 없기 때문에 13억 2천만 원을, 13억 3600만 원이 감액된 것으로 그리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엑스포 기반조성 360페이지에 대한 3억 216만 원이 되겠습니다.
  이 사업은 전번에 11월 9일 간담회 때 보고를 드렸습니다마는 본 사업은 현재 건립 중인 엑스포 주제관하고 유통센터 그리고 항노화체험관을 비롯한 시설물이 하나의 브랜드로 그렇게 관광상품화 되도록 심블마크하고 종합안내패널 그리고 야간 조명 이런 부분을 설치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여기는 기존 있는 건물을 하나로 포괄적으로 브랜드화 시켜서 운영하는, 그런 안내를 하는 그런 것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디자인 표준화 개발은 내년 1월에 착수해 가지고 6월까지 완료를 할 계획입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발언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음)
○위원장 박용운 과장님 수고하셨습니다.
  조금 전에 세부설명을 듣고 또 이 부분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으면 지금 질의를 해주십시오.
박기정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박기정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박기정 위원 과장님 수고 많습니다.
  357페이지 지금 이게 산삼축제…, 사실 축제 비용인데 이게 5억 3300(만 원) 정도가 지금 증가되었습니다. 이게 내년 뭐 일회성으로 끝날 겁니까? 아니면 이게 또 한 번 예산이 불어나기 시작하면 계속 유지되는 그런 또 특성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산삼축제 예산은 14,5억 정도로 계속적으로 늘려야 된다는 겁니까? 아니면 이게 증액된 부분은 내년 일회성으로 거의 끝나는 겁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이 부분은 2020년 엑스포 때까지, 그러니까 내년, 내후년 2년은 이 수준으로 좀 가줘야 되겠다는 저희들 판단입니다. 현재 엑스포 하기 전에 어느 정도 엑스포에 맞는 그런 구색을 갖춘 축제를 해야 되기 때문에, 항노화 또 프로그램도 보강시켜야 되고 그런 부분입니다.
박기정 위원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하셨습니다.
  잠시 안내를 드리겠습니다. 일단은 설명한 부분에 대해서 질의가 없으시면…
황태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353페이지까지만 우선에 질의해 주십시오.
  황태진 위원 질의해 주십시오.
황태진 위원 이 13억 감액된 이게 감액이 되어도 뭐 아무 이상이 없습니까? 감액이 되어 가지고 준공하는 데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사업하는 데는 이상이 없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13억이나 감액이 되었는데, 여기 지금…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사업이 종료되기 때문에…, 작년에 비례해서 반영한 겁니다.
황태진 위원 유통센터 이게 다 완벽하게 갖춰집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금년이 마무리 사업입니다. 계약도 다 되었고, 다만 공사를 하다 보면 저희들이 그 뒤에 시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부분이 내년에 3억 3천만 원 그것 군비로 처리할 부분입니다. 그것만 있으면 다 마무리가 됩니다.
황태진 위원 그리고 355페이지 함양항노화 하이웨이 프로젝트 개발 여기에 대한 설명을 좀, 이해가 안 가서 그럽니다.
  이것은 뭐 장소가 어딥니까? 이 장소를 어디다 해 가지고 한다는 말입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산삼주제관하고 유통센터가 해당이 됩니다. 또 한 군데는 산삼골휴게소 농특산물판매장 거기하고 크게는 두 군데로 보시면 됩니다.
황태진 위원 지금 휴게소에는 특별한 그게 필요합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산삼골휴게소에도 지금 조금 더 홍보를 강화하고 할 필요가 있습니다. 거기는 보면 안내스크린 같은 것도 설치해줘야 되고…
황태진 위원 안내…?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안내스크린 그런 부분도 설치해줘야 되고, 거기서 또 우리 함양군 농특산물이나 정보제공을 해줘야 또 함양군에 직접 와서 구매하고 관광하고 연결시키는 그런 좋은 장소를 놓칠 수가 없어서 하는 사항입니다. 그리고 산삼홍보관에는 상림에는 AR이나 VR, 인터넷하고 연결해 놓음으로 해서 외부 관광객들이…, 상당히 앞으로 떠는 산업이기 때문에 그걸 봐서 입장료를 받을 수 있도록 그런 콘텐츠를 보강하는 쪽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황태진 위원 산삼홍보관 이런 데는, 주제관 안에 한다는 이야기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주제관도 하고 또 유통센터 그 주변 공간에 그 부분에 저희들이 건물의 형태가 나왔기 때문에 장소는 세부적으로 또 계획을 세워 가지고 연말에 할 계획입니다.
황태진 위원 거기는 지금 건물을 다 짓고 나면 뭔가 후속 뭐 디자인을 해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렇습니다. 그 건물만 지어 놓으면, 저희들이 내부 콘텐츠를 17억 들여 가지고 최대한 보강을 했는데도 그래도 좀 부족함이 있습니다. 그래서 VR이나 AR 이런 것 해놓으면 젊은층들이 와서 휴대폰을 가지고 가상현실도 볼 수 있고 또 직접 체험도 하고 그렇기 때문에 그것은 상당히 관광적으로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 걸 할 때 완벽하게 해 가지고, 또 뭐 중간에 해 가지고 뭐가 미비하면 또 다시 해야 된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러면 또 예산이 더 들거든요. 할 때 완벽하게, 내가 봐서는 이 예산이 뭐, 세 군데나 이 예산을 들여 가지고 하는데 6억 4500만 원 가지고 완벽하게 갖춰질 만한 그런 예산이 됩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상림공원이나 이런 데는 소프트를 넣으려면 아주 끝도 한도 없습니다. 그런데 저희들은 이 예산 가지고 과연 일차적으로, 장기적으로 추가사업을 하더라도 될 수 있도록 그런 기반을 확실히 계획을 세워 가지고 추진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과장님 말씀대로 제대로 프로젝트를 개발하려면 한도 끝도 없다지만 어느 정도 그래도 따라갈 수 있게끔 해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제가 말씀드린 부분은 계속 지속적으로 해야 된다는 말은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VR이나 이런 기본 프로그램을 넣어 놓으면 1년 동안 같은 프로그램이 돌아가면 관광객들이 식상합니다. 그러면 다시 업그레이드를 시켜줘야 됩니다. 그래서 그걸 저희들이 예산을 국비를 확보하려고 콘텐츠진흥원에 내년에도 추진을 할 겁니다. 그런 것은 국비가 거의 95%입니다. 그래서 그런 사업 위주로 확보해 가지고…
황태진 위원 그런 프로그램을 실제로 자주…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업그레이드 시켜줘야 됩니다.
황태진 위원 자주 해줘야 되기 때문에, 뭐 6개월 있다가 오면 똑같은 거면 와야 될 그게 없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런 프로그램을 자주 개발해 가지고 오는 사람한테 뭔가 다른 모습을 항상 보여주는 그런 프로그램이 되어야 되거든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런 데는 좀 완벽하게 해 가지고, 우리가 다른 데 가도 1년 있다 또 같은 걸 하고 있거든요. 그럼 잘 안 되거든. 그러니까 할 때 그런 프로그램을 잘 개발해 가지고 진짜 누구나, 뭐 한 2,3개월 있다 가보니까 ‘아, 또 다르더라!’ 그래야 자꾸, 오는 사람이 오지 안 오는 사람은 안 옵니다.
  그렇게 잘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잘 개발하는데, 뭐 이 예산이 충분하다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런 부분은 충분히 감안해서 계획을 세우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리고 다른 것 해도 됩니까?
○위원장 박용운 일단 페이지를 점검하고 그러면 하도록 하겠습니다.
  353페이지까지 더 질의하실 위원님 안 계십니까?
황태진 위원 하나만 더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하십시오.
황태진 위원 엑스포 기반시설 조성에 조명하고…, 조경에 조명을 한단 말입니까? 주제관에?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360페이지? 기반시설 디자인 표준화사업 경관에 보면 이 조명을, 우리 지금 조명은 어떤, 어디 전문가들한테 조명 그걸 줍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것은 저희들이 전문가 자문을 받아야 됩니다. 지금 저희들 건물 자체도 보면 산삼을 형상화 해 가지고 상당히 아주 최고의 권위자가 설계를 해줬는데, 그 부분을 야간에 LED조명으로 잘 활용하면 야간에 상당히 볼거리가 됩니다. 그런 부분을 저희들이 깊이 있게 고려해서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조명을 보면, 우리 상림 지금 다리마다 조명을 해놨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 조명예산이 상당히, 제가 알기로는 6대 때 이야기한 게 10억 든 조명이거든요. 그런데 그게 보면 다리 난관 맨 밑에 보면 색이 아주 진하게 나오고 그 다음에 뭐 빨간불 파란불 노란불 쫙 되어 가지고 맨 위로 왔다 갔다 하는데, 맨 밑이 너무 환하니까 위에 빨주노초파남보 이런 색깔이 멀리서는 잘 안 보입니다. 그러니까 별 그 의미가 없어요.
  그래서 우리가 한번 이야기해서 이것 조정하라니까 조정을 할 수가 없대. 그럼 맨 밑에 게 진하면 좀 조정해 가지고 낮춰서 위에 게 살아나게끔 만들어줘야 되는데 아예 다시 모든 걸 해야 된다는데 그런 자체가 좀 잘못된 거거든요.
  뭔가 멀리서 딱 보면 색깔이 한 색보다는 여러 색이, 빨주노초파남보 딱 와야 보기가 좋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런데 지금 거기에 돈을, 그런 막대한 예산을 들여 가지고 했는데도 별, 저녁으로 가보면 그냥 다리 있다는 그것 하나지, 불 맨 밑에 해 가지고 위에 그런 보기 좋은 조명이라고는 볼 수가 없거든요. 그래서 염려가 되어서 이것 한번 물어보는 겁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이 사업은 조명은 일부 들어가고요. 사실은 심블마크하고 이런 부분 예산이 많이 들어가고, 예를 들어 로고 같은 것, 심블마크라든가 이게 상징 표시가 되는, 상표마크 같이 그런 시설에 대해서, 전체 산업화단지에 대한 그런…
황태진 위원 디자인 표준화사업과 경관…, 일단 어느 정도 조명도 들어가고, 이것은 기반시설 아닙니까? 디자인 표준화사업 이런 것?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건물 뒷부분을 다 정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이 조명 같은 것도 넣을 때 좀 진짜 전문가 자문을 받아 가지고 전문가들이 와서 넣어서, 그것도 그 할 때는 밝게 하든지 안 그러면 진하게 하든지 옅게 할 수 있는 조절할 수 있는 그런 게 될 수 있을 건데 왜 안 되는지 모르겠어요? 그런 걸 잘 검토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알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김윤택 위원 예?
○위원장 박용운 김윤택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김윤택 위원 우리 과장님 축제를 위해서 많이 애쓰시고 감사드리고 싶습니다.
  이것 제가 두 가지만 궁금한 게 있어서 물어보겠습니다.
  방금 황 위원이 얘기했지만 엑스포 기반시설, 조명시설 저 부분은 제가 생각할 때는, 제 개인 생각이지만, 우리가 엑스포를 하려고 그러면 상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건물, 예를 들어서 강원도 동해에서, 속초에서 했을 때 관광엑스포 가보셨죠? 그런 전망타워 있죠, 전망대?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김윤택 위원 또 우리 대구나 남산을 비교하면 안 되지만, 필봉산 꼭대기에 하든지 차라리 우리 주제관 근처에 하든지 그런 전망 타워를 하나 만들어 가지고 손님들이 왔을 적에 올라가보고 즐길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그런 시설을, 상징적인 건물을 하나 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되는데, 아직까지 엑스포 시간이 남아 있으니까 그죠. 한 2년 세월이, 차라리 우리 함양에 정말로 자손 대대로 길이길이 남을 수 있는 그런 상징적인 건물 하나 탑식으로 간단하게 우리 손님들이 걸어서, 동해 그 속초에 보면 걸어서 올라갈 수 있는 계단이 120개 정도 되었거든요.
  그런 탑이라든지 안 그러면 초고속 엘리베이터시설을 해 가지고 올라갈 수 있는 그런 정말로 상징적으로 남을 수 있는 그런 건물을 하나 만드는 것도 안 괜찮습니까?
  그 돈 몇 억 들여서 맨날 해봤자 그게 그거고, 제가 볼 적에는 우리가 정말로 세계적인 엑스포를 할 것 같으면 우리 함양군민들에게 자손들에게 영원히 남을 수 있는 그런 상징적인 탑을 하나 만드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되고요.
  그리고 여기 앞쪽에 좀 건너가겠습니다. 350페이지인가 지역 6차산업 활성화 지원해주는 것 있죠?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김윤택 위원 이것 지금 민간 뭐 보조사업 해 가지고 사업단하고 이것 지정이 된 겁니까? 안 그러면 할 계획입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이 참고로 말씀드리면 얼마 전에 언론에 나온 부분이 있습니다.
  오미자하고 산삼을 융합제품 해 가지고, 지금 함양도 보면 백전에 오미자 판매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런데 오미자하고 산양삼하고 융합하면, 전국에 오미자 상품이 너무 많습니다. 그런데 이게 경쟁력이 없답니다. 있는 것은 함양곶감 나가는 게 하나 있고, 그래서 그 부분을 저희들이 화장품회사까지 와서 상품을 만들어 융합해서 농산물도 팔아주고 할 겁니다. 그런데 이런 데 하는 사업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지금 R&D 하는 게 전부 이런 부분입니다.
김윤택 위원 그래서 지금요 제가 볼 적에는 우리 6차산업 6차산업 해도 농산물들은 앞으로는 정말로 경쟁력이 없습니다. 거기에다가 우리가 뭐 힐링 이런 것은 또 이해를 하지만, 홍보마케팅 이런 데도, 지금 오미자라든지 산삼이라든지 다 거의 어느 정도는 활성화가 되어져 있고 확정되는 그런 부분들인데, 우리 함양에서 이렇게 투자를 해 가지고 잘 되면 좋은데 그 기대치 이상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거라고 생각이 되거든요. 그래서 우리가 농가를 정말로 보호할 것 같으면 활성화보다는 다른 쪽으로 유도하는 것도 행정에서 할 일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이 부분은 한 번 더 짚고요. 처음에 말했던 시범단지에 기반조성 이것은 한번 시간이 있으니까 생각을 해보십시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알겠습니다.
김윤택 위원 정말로 상징적인 건물이, 탑이 만들어지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이 되어서 얘기를 합니다.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박기정 위원 예?
○위원장 박용운 박기정 위원님.
박기정 위원 과장님, 이것은 예산하고 직접 관련된 얘기는 아닙니다마는, 우리 지금, 특히 산삼항노화엑스포과가 어려운 용어가 참 많아요. 제가 여담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마는, 우리 세부사업명을 사실 이름만 딱 보고도 어느 정도 사업 자체가 추론이 좀 되어야 되는데, 사실 우리 산삼항노화엑스포과의 예산서를 보면 이게 뭐 영어가 많이 들어가서 그런지는 몰라도 단위사업명을, 세부사업명을 딱 보고는 그 사업이 추론이 잘 안 됩니다. 이것 조금 바꿀 수 없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저희들이…
박기정 위원 이게 뭐 간단하게 듣기는 좋은데, 사실 사업 자체가 퍼뜩 떠오르지 않는다면 이것 홍보 자체도 조금 문제가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이게 과연…, 제가 일례를 든다면 뭐 행사장 루미나리에 조성이라든지 뭐 하이웨이 프로젝트, 웰에이징, 인큐베이팅 지원 뭐 웰니스관광 팸투어, 물론 이게 사용하는 용어이긴 합니다마는 이게 일반적으로 퍼뜩 다가오는 그런 용어는 아니거든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렇습니다. 그런 부분이 있습니다.
박기정 위원 이걸 조금 다음에는 심도 있게 고민을 한번 해보십시오. 내 항상 이것 보면서 느낀 건데, 특히 일반인들 입장에서는 더더욱 바로 사업이 추론이 안 될 것 같아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상당히 전문가들이 하는 용어라서, 저희들이 제목을 쓸 때는 창의사업까지…, 뭔가 집중적인 게 다르기 때문에 제목을 이리 하는데, 이게 우리 군민들에게 알릴 때는 좀 조정하는 방법도 있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해 보겠습니다.
박기정 위원 그러니까 우리 공무원들은 고생하는 것이지만 이걸 한번 고민해 보십시오. 나는 이게 정책판단이 좀 거슬린 그런 내용입니다. 이상입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잘 알겠습니다. 적극적으로 검토를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하셨습니다.
황태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예.
황태진 위원 과장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우리 지금 IC 들어오는 입구에 조형물 있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산삼 조형물?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것은 더 좀 품위 있는 그런 걸로 바꿀 의향은 없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업무가 이원화 되어 가지고 그쪽에 조형물은 건설교통과(현 안전건설과)에 관리를 하고 또…
황태진 위원 관리를 하는데 우리가 세우는 것은 산삼엑스포과에서 안 합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아닙니다. 그것도 건설교통과(현 안전건설과)에서 합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관리비는 왜 또 여기 있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전기료는 또 저희들이 내고 그래서…
황태진 위원 아니 전기료가 아니고 이 위에 보면 조명 유지보수비도 여기서…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거기 유지보수비는 전기 유지보수…, 전기시설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전기만 저희들이 합니다. 이원화 되어 가지고 통합해서…, 그런 부분도 검토를 해보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지금 거기 들어오는 입구에 들어오다 보면 뭐, 관광객들이 하는 이야기가 들어오는 입구에 자연스러운 게 아니고 완전히 조형물, 말 그대로 조형물이니까 조형물 같지만 그래도 좀 자연스러운 게 없다, 그런 이야기 좀 안 듣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런 점 좀 느끼긴 느낍니다.
황태진 위원 지금 엑스포가 얼마 안 남았는데 우리가 그런 기반시설…, 그것도 기반시설에 들어간다, 아닙니까? 한번 연구해 보시고요. 357페이지 아까 우리 박기정 위원이 이야기한 예산, 뭐 과장님 말씀은 다른 데는 20억 30억 예산을 이야기하는데, 실제로 우리가 산삼엑스포 기간 동안에 드는 실 예산이 필요하거든요.
  그렇다고 빚을 내서 단체에서 할 수는 없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예산을 투명하게 딱 해 가지고 뭐, 지금 우리가 봐도 많은 예산이 아닌데, 기간도 배로 더 늘어났고, 그러니까 실제로 우리가 산삼축제, 물레방아축제를 통합시키는 면에서 우리 군민들한테는 예산절감이라고 이야기했단 말입니다. 그런데 예산절감은 아니고 지금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 우리가 봐서는 또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5일 하던 걸 10일 하다 보니까.
  그런데 이 예산은 우리가 꼭 들어가야 될 데는 예산이 안 들어갈 수가 없으니까 예산을 하는데, 이게 문제가 우리가 지금 국가지정축제로 올해 받아야 되지요? 아, 내년에?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것은 크게, 받고 안 받고는 엑스포하고는 관계없습니다. 없는데, 다만 양면이 있을 수는 있습니다. 저희들이 문화체육관광부에 축제를 받으려고 하면 문화 위주로 나가야 되고, 그러면 저희들이 실 이익은 약하고, 또 산업 쪽을 강조하면 문광부(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산업축제를 배제시킵니다.
  그래서 한 예로 장수 같은 경우에 ‘사과랑 한우랑’ 이런 경우는 매출이 40억이 올라가도 문화관광축제를 안 합니다. 왜냐하면 그리 가면, 문화로 가면 그리 참여를 못 합니다. 그래서 거기는 포기하고 산업 쪽으로 다 가는데, 저희들 산삼축제 같은 경우에도 문화보다는 산업 쪽에 가미하는 게…
황태진 위원 이것은 산업성이고, 우리가 물레방아축제는 문화 아닙니까, 말 그대로?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그렇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이게 국가지정축제를 안 받아도 별 의미가 없습니까? 받으나 안 받으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1억 정도 차이가 있는데, 보조금이, 그것은 다른 예산으로 해도 충분히 충당이 가능합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그동안에 국가지정축제를 받으려고 그렇게 노력을 했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저희들이 그걸 노력을 했고, 또 그 부분을 저희들은 욕심을 부린 겁니다. 산업축제도 살리고 문화도 받고 하려니까, 올해도 심사하는데 “축제 이름을 좀, 제목을 바꿀 수 없느냐?” 이런 얘기까지 심사위원들이 합니다. 그러니까 산삼축제 아니면 솔직히 이미지가 다칠 수 있기 때문에 배제를 하였습니다.
  그래서 예를 들어서 심마니 문화축제를 한다든가, 한 예로 여주에 보면 ‘여주쌀축제’나, 아, 이천, ‘이천쌀축제’가 계속해서 문광부에 지정을 못 받으니까 ‘여주쌀 문화축제’로 축제 이름을 바꿨습니다. 바꾸고 나서 최우수축제까지 갔고, 또 하동에 ‘녹차축제’도 ‘녹차축제’로 이름이 문화체육관광부에 못 올라갑니다. 그래서 ‘야생차 문화축제’로 축제 이름을 바꿨습니다. 바꾸다 보니까 이게 또 최우수축제를 받았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가 국가지정축제를, 최우수축제 지정을 받으면 거기에 대한 예산은 정부에서 다 예산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3억 정도 지원됩니다. 3억 5천만 원, 대표축제가 되면.
황태진 위원 대표축제는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전체적인 지원을 못 받고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다 안 받습니다.
황태진 위원 ‘산청한방축제’는 지정축제로 받았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거기는 최우수축제인데 1억 얼마…, 그렇게 큰 국비 지원이 많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우리가 하나의 타이틀이지 명예는 떨어집니다.
황태진 위원 큰 타이틀이 필요…, 예산 많이 받는 게 타이틀이지 뭐 다른 게 뭐 타이틀이 있을 게 뭐 있습니까?    
  (장내 웃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래서 저희들은 그것보다는 차라리 오히려 다른 데 전력투구 해 가지고 예산을, 국비를 더 받는 게 안 낫겠나 싶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가 지금 축제를 하면서 몇 년 동안 각설인가 그런 걸 여기 투입을 못 시켰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우리한테 질문을 많이 해요. “왜 그런 걸 안 올리느냐?”, “우리가 국가지정축제를 받기 위해서 그런 걸 못 들인다.” 설명을 그렇게 했다 말입니다. 그게 또 사실이고, 그런데 이런 국가지정축제 최우수축제로 받아야 될 이유가 없으면 흥행을 할 수 있게끔 그런 걸 얼마든지 데리고 올 수 있는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저희들이 금년 같은 경우에는 어차피 저희들은 산업을 우선해야 됩니다. 우선하지만 그래도 또 도전을 할 겁니다. 그래도 두 가지 다 얻으면 다 좋기 때문에 도전을 하는데, 만약에 그런 도전이 성공되면 또 각설이 부분도 배제가 되어야 되고, 안 그럴 것 같으면 방향을 아예 그런 쪽으로…
황태진 위원 그러면 지금 우리가 2020 세계산삼엑스포가 끝나고 나도 계속 축제는 해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엑스포가 끝나면 축제가 아마 전국적으로 많이 알려질 것 같습니다.
황태진 위원 아니 그래 축제는 계속해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럼 결국에 우리가 이런 예산을 자꾸 줄어들지는 않고 올라가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문제가 축제 자립화 부분입니다. 저희들도 지금 고민을 하는 부분이 앞으로 엑스포가 끝나면 법인화 해 가지고 자립기반을 만드는 게 필요할 것 같습니다. 우선에는 엑스포가 있기 때문에 그렇지만 앞으로는 축제를 어느 정도 돈을 벌어 가지고, 어느 부분이라도 벌어 가지고 군비 부담 줄이는 쪽으로 저희들이 방향을 잡고 고민을 하겠습니다. 장기적으로 그렇게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 참 좋은 말씀인데, 그게 뭐 축제를 통해서 수입 되는 만큼 그 예산 가지고 다음에 치를 수 있으면 괜찮은데, 이게 개개인이 수입이 들어오는 거지 우리가 공통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은 없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직접 들어오는 부분은 판매장 부스 수입이 들어오는 부분입니다.
황태진 위원 판매장 부스 들어오는, 그것은 실제로 우리가 지금 기반조성하고 있는 건물 지어 놓고 나중에 사후관리비도 안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건물 짓는 부분은, 유통센터 같은 경우는 시설이 자체 운영이 됩니다. 그 돈만 받아도, 임대료만 받아도 되는데, 주제관 같은 부분도 지금 1년 반이나 어느 정도, VR이나 이런 것 만들면 어느 정도는 운영될 것 같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우리 인근 진주도 유등축제 같은 것도 돈을 받고 하니까 말썽이 생긴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러다 보니까 자기들도 예산절감 하기 위해서 그런 아이템을 내서 그렇게 돈을 받고 있는데, 갑자기 또 좀 축제가 흥행이 되니까 돈을 받는다 해 가지고 또 난리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이런 것도 잘 연구해서, 실제로 아까 2020 세계산삼엑스포까지는 이런 예산을 투입해야 되는데 그 다음 예산도 이 돈 투입이 안 돼서는 안 된다 아닙니까? 안 그렇습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투입은 어느 정도는 돼야 되는데, 문제는 자립화로 가도 100%는 못 합니다. 하면 다만 절반이라도…
황태진 위원 절반이라도 자립화가 되면 그것보다 좋은 게 어디 있습니까? 그게 실행 가능하지 않는 이야기 아닙니까, 결론적으로?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축제 하나만 놓고 하면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축제위원회하고 다른 것하고 연계하면 방법은 어느 정도는 있을 것 같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우리 과장님이 계시는 동안, 지금 우리 인근 진주나 장수입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장수 그 ‘사과 한우축제’?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이런 데 아주 흥행을 하고 있다 하거든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굉장히 흥행하고 있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우리가 예산을 10억 들여서 그런 수익 창출을 못 해 가지고 맨날 우리 군예산을 하는 것보다 10억 더 들여서 그런 수익 창출을 해서 내년에는 그 돈으로, 그런 수익으로 대회를, 축제를 할 수 있는 그런 방안을 모색을 해봐야 될 때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러니까 우리 과장님 예산 이것, 우리가 봐도 열흘 동안 하는데 예산이 많은 예산은 아닙니다. 아니지만 그래도 이게 또 산삼농가가 많은데도 전체가 참여를 못하는 그런 실정이 있다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다 같이 참여를 해서 진짜 흥행이 될 수 있는, 제대로 우리 지역경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는 그런 축제로 거듭나야 됩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그렇게 시너지를 높이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과장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위원장 박용운 348페이지에 함양IC 산삼조형물 전기요금하고 또 위에 산삼조형물 조명 유지보수는 뭡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유지보수 여기는 저희들이 전기시설을 하는데, 조형물에 전기시설을 해놨습니다. 그 전기시설하고 전기료 납부하고 그 두 가지는 저희들이 관리합니다. 거기에 따른…
○위원장 박용운 이걸 엑스포과에서 시설 다 하고 해 가지고 우리도 여기에 대해서 질의를 하려고 많이 준비를 하고 있는데 아니 부서를 다른 데로 이관해 가지고 안전관리과에서 하면 안전관리과 어제 다 끝나 버렸는데…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원래 안전관리과에서 설치를 했습니다. 전기 부분은 저희들이 했고…
○위원장 박용운 우리가 매일 다니면서, 이것 아주 잘못된 거예요. 이것 시설을 새로 해야 됩니다.
  밤에 야간에 오면 이게 뭐 도라진지 더덕인지…, 첫째는 우리는 산삼 조형물이라고 갖다 놨지만 자꾸 보면 저게 산삼인지 뭣인지 모르는 거예요. 이왕 투자했을 때 그 빨간 열매에다가 불이 들어오게 해 가지고 딱 보면 ‘아, 이게 산삼이구나!’ 이렇게 알아야 되는데, 밑에 누렇게 떠 가지고 저걸 뭐로 해놨는지 나는 이해가 안 갑니다. 이해가 안 가요.
  어쨌든 조치를 해서, 저쪽 부서에 얘기를 해 가지고…, 그리고 이것도 넘겨주려면 다 넘겨줘야지 왜 전기세는 여기서 내고 복잡하게 그럽니까? 아예 그쪽에다 다 관리를 넘겨 버리지.
  제 생각에는 어쨌든 간에 산삼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끝까지 산삼을 담당하는 부서에서 관리하는 게 맞는데 왜 이걸 그리 했는지 모르겠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이런 부분이 있습니다. 산삼을 지역마다 특화를 했을 경우에 가로등도 산삼 모양이 나오고 전부 다 산삼하고 연계가 되면 그리 되면 산삼 부서에서 싹 다 해야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제…
○위원장 박용운 그리 되면 전기세 내는 거나 이런 것은 다 그쪽에 과에 줘야 보기도 편하고, 우리가 들여다보기도 쉽고…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것은 협의토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 다음에 349페이지 산양삼 국제교류사업, 중국 휘남현에는 매년 이 인원이 갑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매년 가고 오고 교류를 합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럼 여기 지금 2명인데 누가 갑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아, 여기는 저희들 공무원이 갑니다. 공무원들이 행사 때 갑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래 축제를 앞두고 이렇게 우호교류나 뭐 쉽게 얘기해서 판로개척도 해야 되고 이리 해야 되는데 이게 2명이 가 가지고 됩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봐서 또 예산이 필요한 부분이 있으면 추경에 건의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이왕 집중적으로 선택을 할 것 같으면 이런 데 좀 투자를 해서 덕을 좀 가져와야 될 것 아니에요. 이리 2명 가면 형식적으로 가는 것밖에 안 되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부족한 부분이 있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뭔가 결과물을 가져와야 될 것 아닙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위원장 박용운 넘어가겠습니다.
  다음에 354페이지부터 전체적으로 끝 페이지까지 일괄 검토하도록 하겠습니다.
  아, 그리고 그것 하기 전에 우리 과장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위원장 박용운 박기정 위원께서 말씀하신 그 용어에 대해서 우리 위원님들도 사실은 전문가가 아니고, 그런데 이게 일반 시민들이 사실은 알기 쉽게 해줘야 맞거든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위원장 박용운 그런 부분도 세부적으로 설명을 잘 하고, 그 다음에 앞으로 이런 부분에 대해서 우리 전문위원께서 용어에 대해서 뭐 영어 뜻까지 세부적으로 검토보고에서 그리 올리세요.
황태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예, 질의해 주십시오.
황태진 위원 한 가지만 더 하겠습니다.
  과장님?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이것 예산하고는 별 관계없는 겁니다.
  우리 지금 산삼축제 할 때 이리 플래카드, 앞에 산삼축제장에 글 써 놓은 것 보면 산삼, 함양 뭐 산삼항녹화엑스포 이리 해 가지고 산삼이 있다 아닙니까? 산삼 이 글자?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황태진 위원 그게 가는 데마다 다릅니다. 글자 형태가. 우리가 6대 때부터 아마 그것은 통일시켜 가지고 다른 데서 모방할 수 없는 그런 글을 만들어서 좀…, 우리가 통상적으로 함양 산삼만 봐도, 아, 글자 저것만 봐도 우리 함양 거다, 저것은. 뭐 이 박스나 어디를 가도 이런 걸 만들어 내도 아, 글자만 보면 아, 이것 우리 함양 거다 할 수 있는 그런 글자를 통상적으로 같이 해야 되는데, 이 행사 가보면 정자로 산삼 써 가지고 해놓는 데, 또 우리 군청버스에도 보면 글자가 또 다릅니다. 그러니까 이게 보면 좀 이런 체계적으로 가려고 할 때 벌써 이런 것은 기본입니다, 기본. 글자는 통일이 되어야 되거든. 그런 통일성이 없어요.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그 부분은 저희들이…, 예, 알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 것은 좀 통일이 되어 가지고 어디 가도, 축제장 가는 데마다 플래카드를 하나 걸든 뭐를 걸든 글자가 똑같아야 됩니다. 그리고 외부에 다른 데서 온 데 글자는 우리하고 다르다 아닙니까. 그런 데서 벌써 차이가 나 버려야 돼, 글자부터. 그래야 아, 이것은 우리 거다, 거기에 보고 가서 글자 딱 보면 그 사람 모르면 강원도서 왔는지 대전서 왔는지 모른다, 아닙니까.
  그러니까 그 하고, 아까 우리 들어오는 데 입구에 그것도, 그런 것은 거기에 이관해줄 게 아니고 갖고 와야 됩니다. 가지고 와 가지고 그런 산삼을 우리 엑스포과에서 연구․검토해서 아, 이게 좀 안 좋다 하면 여기서 바꿔야 되는데, 거기 안전건설과에 갖다 놓고 그것 연구하겠습니까?
  그러니까 그런 것은 우리 엑스포과에 가져와 가지고 여기서 조형물도 뭔가 연구․검토를 해서, 진짜 좀 다른 걸로 바꿔야 될 때가 되었다 싶으면 거기에 연구․검토를 해야 되지, 내나 안전건설과에 갖다 놓으면 그 사람들이 거기에 대해서 별 관심 갖겠습니까?
  그러니까 그런 것은 좀 가지고 와야 됩니다. 거기 줄 게 아니고.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알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과장님, 엑스포를 5일에서 10일 하면 물레방아축제는 어떻게 합니까?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지금 현재는 물레방아축제도 같이 기간을 하고 있습니다. 열흘간 같이 동일하게 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올해 하는 것 보니까 축제가 지금은 산삼축제에다가 매달려야 될 시기인데 이게 물레방아축제하고 같이 하다 보니까 혼선이 와 가지고 이게 뭔가를 잘 모를 정도로 복잡한 부분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축제에 대해서 저번에도 많이 지적을 했지만 그런 부분에 대해서는 내년에 잘 하시리라 믿고, 예산이 증액된 부분에 대해서 이 예산이 증액이 되면, 참, 저번에 결과보고 할 때 보니까 많이 안타깝더라고요.
  돈이 모자라서 축제위원회에서 대출도 내고 급해서 그랬던 모양인데, 그런데 우리가 여기에서 그렇게 해서 축제를 시켜서는 안 되거든요.
  일을 열심히 할 수 있게끔 최대한 우리가 지원을 해줘야 될 지금 시기인데, 어쨌든 그래도 효율적이고 알차게 해서 올해는 축제가 ‘아, 잘했다!’ 하는 소리가 나올 수 있게끔 그리 좀 과장님 특별히 더 심사숙고하시기 바랍니다.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예, 잘 알겠습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산삼항노화엑스포과 소관에 대한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우리 과장님하고 계장님들 장시간 고생 많이 했습니다. 나가셔도 되겠습니다.
  잠시 휴식을 위해서 5분간만 정회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1시11분 회의중지)

(11시17분 계속개의)

○위원장 박용운 성원이 되었으므로 회의를 속개하겠습니다.
  다음은 산림녹지과 소관 제안설명을 듣도록 하겠습니다.
  산림녹지과장 제안설명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발언대에 오름)

○. 산림녹지과 소관 예산안 제안설명(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반갑습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입니다.
  평소 산림업무에 관심을 가져주시는 박용운 산업건설위원장님과 위원님들께 감사를 드립니다.
  지금부터 산림녹지과 2018년도 본예산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산림녹지과 예산은 전년도 170억 1176만 원보다 34억 6974만 원이 증액된 204억 8150만 3천 원으로, 정책사업이 99.7%인 204억 1933만 1천 원으로 편성하였고, 기타 행정운영경비 0.3%인 6217만 2천 원으로 편성하였습니다.
  그러면 단위사업별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366페이지입니다. 먼저 녹지공간 확충입니다.
  국립공원 구역 중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지역과 구역상 조정이 필요한 지역의 사전조사 및 환경부 구역조정 협의를 위하여 용역비 3억 8230만 원, 국도비 예산 확보 및 함양군 전체 발전방향 협의를 위한 지역 산림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1억 2천만 원을 편성하였고, 임업인의 교육 및 선진지 견학을 위하여 행사실비보상금으로 1090만 원과 사회단체 지원을 위한 민간경상사업보조 14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로수관리를 위한 재료비 1210만 원과 현재 읍 시가지 백합나무로 조성된 가로수에 대하여 병해충 발생으로 돌출부에 종종 받쳐서, 가로수가 많아 전수 및 시가지 가로수 제거 등의 대처를 위하여 가로수 수종갱신 및 추가 식재를 위한 시설비및부대비 3억 6187만 2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가로수 수종갱신은 지역주민 여론수렴 등을 거쳐 읍 시가지 생육에 적합하고 장기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수종을 선정하여 사업 시행토록 하겠습니다.
  367페이지입니다. 국도비사업인 도시녹지관리원 기간제근로자 보수 1845만 2천 원, 식목일 나무심기행사 운영을 위한 재료비 750만 원, 지특회계사업인 가로수 조성을 위한 시설비및부대비 2억 원을 편성하였으며, 사회적 약자계층 복지증진을 위하여 함양정신요양원 녹지공간 숲 조성을 위한 전액 도비사업비 1억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368페이지입니다. 각종 개발사업 등으로 폐기되는 수목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서상면에 위치한 나무은행 조성사업비 5천만 원, 지속적인 녹색숲 조성을 위하여 찾고 싶은 관광 함양을 조성하기 위한 전원마을 꽃동산 조성사업을 위한 인건비 9097만 7천 원, 예취기 및 엔진톱 등 유지보수를 위한 일반운영비 4836만 원, 고형비료 등 재료비 1500만 원을 편성하였고, 읍면 도로변 꽃길, 꽃동산 조성 및 사후관리, 시가지 플라워박스 초화 식재를 위한 사업비 8억 2400만 원을 시설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생활주변 녹화 및 사후관리에 시설비및부대비 4억 2340만 원을 편성하여 품격 있는 볼거리를 함양에 조성토록 하겠습니다.
  다음은 370페이지 경제림 조성입니다.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조림사업을 시행하여 경제림을 조성하고, 지역주민 소득증대를 위하여 85ha의 경제림 조성을 위한 국도비 10억 1839만 2천 원을 시설비및부대비에 편성하였고, 생활권 주변 큰나무 식재를 통한 가치 있는 산림자원 조성을 위한 큰나무 공익조림 1억 294만 2천 원을 시설비및부대비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1페이지 산림소득사업입니다.
  29개소에 밤대체작목 조성을 위한 국도비 1억 2180만 원, 양질의 톱밥 생산을 하여 농가에 보급하기 위한 목재집하장 톱밥 생산비 지원 및 톱밥분쇄기 구입 보조 등 사업비 3억 4200만 원을 편성하였고, 목재펠릿(보일러) 보급을 위하여 민간자본이전사업비 4600만 원을 국도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2페이지입니다. 재선충병 무단이동 단속초소 운영을 위한 인건비 1849만 5천 원, 임산물 상품화 14개소 지원을 위하여 국도비 1억 9453만 6천 원, 산림버섯 재배시설, 밤나무 노령목 관리를 위한 민간자본사업보조 6440만 원, 산림작물생산단지 공모사업 8개소 설치를 위한 국도비 11억 493만 원을 민간자본이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4페이지 산림복합경영단지 공모사업 2개소 지원을 위하여 국도비 1억 7738만 4천 원을 편성하였고, 임산물유통센터 1개소 조성을 위한 공모사업비 3억 5천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산림작물생산단지 14개소를 조성하기 위한 민간자본사업보조 1억 1061만 4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밤나무 지상방제 및 항공방제 약제지원을 위하여 9821만 원을 민간자본이전 예산에 편성하였으며, 휴양림 숲해설가 운영을 위한 민간위탁금 4400만 원을 예산 편성을 하였습니다.
  다음은 임도사업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신설 2㎞ 임도사업비 4억 4426만 3천 원, 작업임도(2㎞) 2억 6827만 4천 원, 376페이지 임도 구조개량(1㎞) 6619만 2천 원과 임도 보수(5㎞) 2169만 8천 원을 편성하였고, 504만 3천 원을 수수료로 편성하였습니다.
  이어서 376페이지입니다. 임도시설 긴급보수 풀베기사업 시행을 위하여 시설비 4975만 9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안의 이전리 밤숲에 조성되는 목재문화체험장 조성을 위한 시설비및부대비 11억 원과 목공장비, 설비류 구입을 위한 자산및물품취득비 3억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7페이지 산촌운영매니저 및 숲길체험지도사 기간제 인건비 5527만 4천 원, 산촌생태마을 운영 유지보수사업비 3800만 원과 목재문화체험장 시설 운영을 위하여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893만 원과 시설 운영 및 공공운영비 지출을 위한 일반운영비 1824만 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78페이지입니다. 산사태 발생 우려지역 예찰 및 산사태 발생 시 긴급 응급복구 지원을 위한 산사태현장예방단 기간제근로자 인건비 3418만 1천 원, 차량 임차, 유류대, 수방자재 구입을 위한 일반운영비 1470만 원, 기타 교육훈련비 월 여비지출을 위한 일반보상금 100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고, 경상남도 산림환경연구원에서 시행하는 사방댐, 계류보전사업 등 사방사업 추진을 위한 군비 부담금 1억 6973만 4천 원을 자치단체간부담금으로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함양군 대표자원으로 산업 육성을 위하여 함양 마천옻체험탐방로 조성사업비 6억 6200만 원을 편성하였고, 임업인의 소득증대와 산삼항노화 산업복합과 접목한 전문임업인 양성을 위한 임업대학 운영을 위하여 6800만 원을 자치단체등이전 사업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백전 대안지구 산지사방시설을 위하여 8655만 원의 시설비를 편성하였으며, 대봉산 주변에 조성한 산악레포츠숲길 유지보수를 위한 사업비 5억 원을 시설비및부대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80페이지 산림휴양치유마을 조성입니다.
  마천 당흥마을 일원에 산림휴양을 위한 심신치유마을 1차년도 사업 추진을 위하여 2억 1430만 원을 예산에 편성하였고, 도비보조사업으로 병곡면 원산리와 광평리를 잇는 대봉산 주변 산악레포츠 약초길 조성사업 7.84㎞ 추진을 위하여 10억 원을 시설비및부대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자연휴양림 조성 및 관리입니다.
  생태숲 운영 관리를 위한 기간제근로자등보수 1억 499만 5천 원, 생태숲 운영경비 및 공공요금 납부를 위한 일반운영비 5306만 2천 원과 퇴비 구입 및 병해충 방제 약제 구입 등을 위한 재료비 1250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고, 숲해설가 교육비 지급을 위한 일반보상금 80만 원, 생태숲 실내 계단 보수를 위한 시설비 2500만 원과 생태숲 비품 구입을 위한 자산취득비 700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82페이지입니다. 휴양림 홍보물 제작 및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납부를 위한 일반운영비 2억 7331만 8천 원, 대봉산자연휴양림 이불 등 소모품 구입을 위한 재료비 1천만 원과 산삼자연휴양림 노후 시설물 보수, ‘숲속의 집’ 4개동 보수공사, 용추자연휴양림 종합안내판 교체, 산삼자연휴양림 낙석방지책 설치를 위한 시설비및부대비 1억 2631만 8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옷장 등 대봉산자연휴양림 비품 구입을 위하여 2400만 원을 자산취득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용추자연휴양림 시설보완을 위한 국도비 10억 원을 시설비및부대비로 예산 편성을 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불없는 함양만들기 예산입니다.
  산림보호활동을 위한 불법 산지전용 경계측량을 위한 일반운영비 150만 원, 숲길체험지도사, 산림자원조사단, 산림병해충방제단 전문․심화교육을 위하여 행사실비보상금 5백만 원, 산림법 위반 참고인 및 산불신고자 보상금 지급 등을 위한 기타보상금 1300만 원을 편성하였으며, 읍면 우수기관 표창을 위한 포상금 290만 원과 행정대집행을 위한 시설비 1천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84페이지 산불예방 강화입니다.
  산불예방을 위한 산불감시원 기간제근로자 보수 19억 5555만 9천 원, 산불감시원 유류대 및 홍보물 제작을 위한 일반운영비 9865만 원, 시책업무추진비 3백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산불전문진화대 인건비 5억 6916만 원, 산불 출동차량비, 유류대 2459만 8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산불진화 및 장비의 현대화입니다.
  산불무인감시카메라 시스템 운영․관리 및 진화장비의 소모품 관리․운영과 무선국 허가 수수료 등 공공운영비 지급을 위하여 일반운영비 7303만 6천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임업기계장비 보관 창고시설 건립을 위하여 시설비 2억 원과 산불무전기 보완장비 단말기 장비 구입을 위하여 2472만 6천 원을 자산취득비로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86페이지 산불예방체계 구축 및 운영 예산입니다.
  산불위험요인 사전 제거 임차 1대 및 유류대 집행을 위한 일반운영비 1170만 원, 무인감시카메라 세 곳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시설비 6백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숲길조성 관리 예산입니다.
  기존 등산로 유지관리 및 정비를 위하여 2억 원을 시설비로 편성하였고, 산불진화체계 구축 및 운영을 위한 산불진화자 급식비 474만 6천 원을 일반운영비에, 산불개인진화장비 및 휴대용무전기 보급을 위하여 자산취득비 2022만 4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산불진화공무원 출동여비 404만 원을 국내여비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88페이지입니다. 산불예방용 통신장비 확충 및 운영을 위하여 산불위치관제시스템 통신비에 소요되는 1586만 원을 공공운영비에, 산불진화인력 교육 및 평가 예산에 헬기임차료와 산불진화인력 자치단체간부담금 1억 7289만 6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산불조사 감식장비세트 구입을 위하여 자산취득비 8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보호수 관리 예산입니다.
  보호수 외과수술이 필요한 5개소와 보호수 주변 정비 및 쉼터 조성 등을 위하여 시설비 1억 1300만 원을 편성하였고, 산림병해충 저지와 방제를 위하여 산림병해충 예찰방제단 운영을 위한 인건비 1억 3827만 8천 원, 병해충 방제단 운영을 위한 일반운영비 2300만 원, 대봉산생태숲 병해충 방제사업을 위하여 4323만 5천 원을 시설비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90페이지입니다. 소나무재선충 고사목 방제,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주사, 소나무재선충병 지상방제, 꽃매미 지상방제 등 기타 산림 병해충 방제사업비 2억 9811만 1천 원을 시설비로 편성하였고, 산림병해충 방제기계를 시설비로 구입하기 위해 616만 원을 자산취득비로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보호수 유지관리를 위한 도비보조사업 4542만 7천 원을 시설비에 편성하였습니다.
  산림자원조사단 2명 기간제근로자 사역을 위한 사업비 3910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92페이지 숲가꾸기사업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큰나무가꾸기사업 295ha, 어린나무가꾸기 70ha, 조림지 풀베기사업 740ha, 덩굴류제거사업 60ha 사업 시행을 위하여 18억 9380만 원을 시설비및부대비에 편성하였고, 백두대간보호구역으로 지정된 지역 주변 주민소득 감소분에 대한 지원사업비 319만 4천 원을 일반보상금에 편성하였고,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공모사업 1개소와 소액지원사업 14개소 지원을 위하여 민간자본사업보조 예산 3억 1905만 1천 원을 편성하였으며, 산림 내 고사목 수집을 통한 산림자원 활용도 제고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림바이오매스 수집활용 인건비 4억 6222만 4천 원을 편성하였고, 산물 수집에 따른 부대비 지출과 교육여비 지출을 위하여 사무관리비 4457만 1천 원과 일반보상금 650만 원을 각각 편성하였습니다.
  사유림 경영계획 작성을 위하여 606만 4천 원을 시설비에 편성하였습니다.
  다음은 394페이지 주요등산로 정비사업 추진을 위하여 지리산둘레길 홍보물 제작, 사무용품 구입, 화장실 청소용역, 안내센터 진열대 구입을 위한 사무관리비 3040만 원과 안내센터 전기요금, 정화조 청소요금 등 공공운영비 870만 원을 편성하였습니다.
  또한 지리산둘레길안내센터 정비 및 전기시설 보완, 지리산자락길 정비, 등산로 안내판 유지보수와 숲길 개설사업, 안내센터 데크 유지보수사업을 위하여 3억 6860만 원을 시설비에 편성하였고, 자산취득비로 3백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끝으로 산림녹지 분야 운영경비로 일반운영비 3352만 2천 원, 국내여비 2565만 원, 부서운영업무추진비 3백만 원을 예산 편성하였습니다.
  이상 2018년도 산림녹지과 예산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발언대에 내려와 자리에 앉음)
○위원장 박용운 과장님 수고했습니다.
  다음은 전문위원 검토보고 순서입니다.
  전문위원 검토보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문위원 배성훈 발언대에 오름)

○. 검토보고(전문위원 배성훈)
(11시32분)

○전문위원 배성훈 상임위원회 산업건설 전문위원 배성훈입니다.
  산림녹지과 소관 2018년도 당초예산 세출예산안에 대해서 검토보고 드리겠습니다.
  배부해 드린 유인물 20페이지를 봐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산림녹지과 예산은 전년 대비 20.4% 증가하여 204억 8,150만 3천 원 되겠습니다.
  주요 증감내역 및 신규사업입니다.
  우선 5천만 원 이상 증감사항입니다. 그리고 산업건설위원회 10개 과나 사업소 중에서 항목이 가장 많습니다. 따라서 설명을 요하는 항목도 또한 많습니다.
  주요 증감내역 및 증액편성 주요요인은 국립공원 구역조정 용역 및 지역산림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3억 7천만 원 외 26개 사업이 증가하였습니다.
  그리고 22페이지를 봐 주십시오. 감액편성 주요요인은 가로수 조성사업비 6천만 원 외 6개 사업입니다.
  그리고 주요 검토사항입니다.
  지리산국립공원 구역조정 용역입니다. 2억 5천만 원입니다.
  군비사업비로 자연공원법 제4조의2(국립공원의 지정 등)에 따라 국립공원은 환경부의 관할로서 구역 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사전협의(건의) 등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따라서 국립공원 구역조정을 하기 위해서 지금까지 추진사항 등 꼭 국립공원 조정에 대한 필요성을 위원님들에게 보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다음 지역산림기본계획 수립 용역입니다.
  산림기본법에 의한 지역산림기본계획은 10년 주기로 수립토록 되어 있어 용역하는 것으로서, 또 산림기본법 제11조제3항을 한번 참고하시고, 이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될지 말아야 될지에 대한 검토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읍 시가지 가로수 수종갱신 및 상림우회도로 가로수 추가 식재입니다.
  읍 시가지 1.4㎞에 대한 수종갱신에 사업비 2억 6천만 원이 소요되므로 수종선택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며, 또 상림우회도로 1㎞ 가로수 추가 식재에 대해서도 설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가로수 조성사업입니다.
  지특회계사업으로 가로수 10㎞, 잎면녹화 1개소에 2억 원의 사업비로 추진하는 것으로서 사업대상지에 대해서도 설명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리고 녹지공간 조성사업, 생활주변 녹지공간 조성 및 지역명소화사업, 조림사업 설계․감리용역 및 경제림 조성, 산림재해 방지 조림 이하로 쭉 내려가셔 가지고요, 맨 밑에 산림작물생산단지 조성까지는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24페이지입니다. 산림복합경영단지는 민간자본보조사업으로 금년도에 신규로 2개소에 지원하는 공모사업입니다. 사업내용에 대해서도 세부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임산물 유통센터는 민간자본보조사업으로 금년도에 신규로 공모 1개소입니다. 개략적인 게 없지만, 공모사업에 대한 개략적인 지원대상자, 위치 등 임산물 유통센터 건립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임도 신설 및 작업임도 구조개량 보수하고 임도 구조개량 및 보수는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목재문화체험장 조성 및 목공장비 등 구입은 지특회계사업으로 안의면 이전리 468-8번지 일원에 목재문화체험장을 조성하여 관광객을 유치, 목재문화 체험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금년도에 마무리되는 사업입니다. 향후 시설 유지관리는 중요하다고 봅니다. 따라서 유지관리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다음 함양 마천옻체험 탐방로 조성사업은 마천면 추성리 일원에 옻체험탐방로를 조성하는 사업입니다. 그리고 관광자원화 하고자 합니다.
  옻의 재배와 가공에 대한 마천의 옛날 명성을 되찾기 위해서 사업 추진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25페이지 함양 임업대학 운영부터 밑에 보면 그 다음 다음에 산악레포츠 숲길 보수사업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그리고 당흥 산림휴양치유마을 조성 1차년도가 되겠습니다. 국비보조사업으로 금년도에 신규로 조성합니다. (신규로 조성하는 사업인) 만큼 사업계획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필요합니다.
  그리고 산악레포츠 약초길 조성사업부터 26페이지입니다. 등산로 정비까지는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산불진화 급식비는 국비보조사업으로 산불진화요원 급식비가 전년도 대비 6104만 7천 원이 삭감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큰나무가꾸기사업 외 3종은 국비보조사업으로서 관내 큰나무․어린나무 가꾸기사업, 조림지 풀베기사업, 덩굴류 제거사업을 통해 건전한 산림 육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사업입니다. 전년도 대비 8억 5천여만 원이 삭감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도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공모사업입니다. 및 주민소득지원입니다.
  민간자본보조사업으로 공모사업인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1개소와 주민소득지원 14개소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을 하는 사업입니다. 지원내용에 대한, 사업내용에 대해서 또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산림바이오메스 수집활동 인건비부터 지리산둘레길 정비 외 9식은 유인물로 갈음하겠습니다. 이상입니다. 감사합니다.
  (전문위원 배성훈 발언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음)
○위원장 박용운 전문위원 수고했습니다.
  검토보고에 중요한 부분을 먼저 과장님께서 나오셔서 자세하게 설명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발언대에 오름)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전문위원 검토보고서에 대한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 조정 필요성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지리산국립공원은 10년마다 구역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2019년도 하반기에 저희들 국립공원에서 공원구역 조정을 위해 가지고 추진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용역비를 편성하게 된 게 지금 현재 마천 추성하고 백무동하고 일부 공원구역 해제를 요구하시는 주민들이 많고, 민원이 많고 해 가지고 내년에 환경성 검토 관계하고 그 내용 자체가 타당한지 안 한지 그 용역을 줘 가지고 용역회사에서 정말 왜 이 구역을 해제해야 되는가를 타당성을 받아 가지고 환경부에 제출해야 공원구역 해제를 해주기 때문에 그래서 저희들이 용역하는 그런 계획을 세우게 되었습니다.
  마천 추성 같은 경우에는 저쪽 추성 그 관할에 임도가 나 있는데 그 아래쪽은 다 해제를 하고, 그런 위치가 민원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예산 편성하게 되었습니다.
  두 번째, 군산림기본계획 여기에 대해서 예산 편성하게 된 것은 지금 산림청장님이 엊그제 취임한 지 두 달 되었습니다.
  서부지방산림청을 방문하시면서 저희들 삼봉산에 산삼단지를 돌아보시고 함양군에 상당히 공감을 하셨는데, 저희들 지난번 군수님 모시고 전국 지방자치단체장들 모시고 산림연찬회를 했었는데 거기에서 산림청장님이 전국의 산림기본계획은 수립이 되어 있는데 함양, 각 시군에 산림기본계획이 수립이 안 돼 있어 가지고 산림기본계획을, 산림경영에 대한 전체적인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한 군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사업비를 지원해준다는 약속이 있어 가지고 그래서 저희들이 예산 편성하게 되어 가지고 내년도 산림기본계획을 수립하려고 준비 중에 있습니다.
  가로수 수종 선정계획에 대해서 말씀, 시가지 (가로수) 선정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올 상반기 가로수 수종 백합나무를 수종갱신하기 위해서 저희들이 전문가들하고 모시고 일부 의견수렴을 해 가지고 하려고 했었는데 주민들 반대도 많고, 현 백합나무를 그대로 유지하자는 그런 여론도 많고 해 가지고 저희들 지금 12월 하고 내년 초에 여론조사 및 공청회를 통해서 여론을 수렴해 가지고 수종을 어떤 나무로 하면 될는지 그것도 결정해 가지고 저희들이 추진하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지 부분에 대해서.
  존치를 하든지 안 그러면 다른 수종으로 대체를 하든지 그것은 그리 하고 간담회 때 보고를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회도로 추가 식재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저희들 우회도로 일부 빠진 부분 그 부분하고 위쪽에 지금 현재 병곡 산삼휴양밸리 저쪽에 현재 도로 개설이 되어 가지고 연결되어 있는 부분에 지곡에서 산삼휴양밸리 입구까지는 현재 저희들이 황금메타세콰이아가 식재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산삼휴양밸리 이정표를 하기 위해서 식재를 해놨는데 그쪽 부분에, 이쪽 병곡에서 마평 산촌생태마을 구간까지는 식재가 안 되어 있기 때문에 그래서 그쪽 부분에 같이 보완, 식재하기 위해서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로수 식재계획 지특회계 그 사업비의 활용계획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지난번 의회 때 지적하신 내용이 있어 가지고 저희들 백리 벚꽃길 조성사업이라 해 가지고 저희들 백전하고 지금 서하, 안의, 지곡, 수동으로 지금 하고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 저희들이 일부 식재를 하긴 했는데 빠진 구간이 많이 있어 가지고 그쪽 부분을 같이 식재하려고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산림복합경영단지 공모사업 부분에 대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산림복합경영단지 조성사업은 두 사람입니다. 한 사람은 독림가 전남배 씨하고 한 사람은 임업후계자 이재영 씨입니다.
  전남배 씨는 산양삼을 식재해 가지고 휀스라든지 기반시설을 하기 위해서 총사업비가 3억 6500만 원입니다. 그중에서 보조금이 2억 8840만 원입니다. 함양읍 죽림리 산 279-1번지 일원하고 마천면 삼정리 산 4-1번지 두 군데가 되겠습니다.
  임업후계자 이재영 씨는 산양삼하고 산약초하고 할 사업으로서 총사업비는 2억 7200만 원입니다. 그중에서 보조금이 2억 1790만 원입니다. 서상면 옥산리 산 25번에 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산물 유통사업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임산물 산지유통사업은 함양지리산고로쇠영농조합법인-지곡면에 있습니다-여기에 고로쇠 수액 기계가 현재 노후화가 되어 가지고 그걸 보수하기 위한 내용입니다.
  총사업비 3억 6천만 원인데 보조금이 2억 5200만 원이 되겠습니다.
  안의에 지금 조성하고 있는 목재문화체험장 시설 유지관리계획입니다.
  목재문화체험장 사업비는 총 51억 원입니다. 이 중에서 국비가 80%입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투자 유치해 가지고 내년에 마무리되는, 완료가 됩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지금 현재 현안사업은 목재문화체험장과 그리고 산책로하고 어린이, 청소년들이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다 해놨습니다. 해놓고, 내년에 저희들이 할 사업은 현재 일반…, 청소년․어린이용 모노레일…, 어린이 체험시설하고 저희들 목공장비하고 그걸 구입할 계획입니다. 그걸 구입해 가지고 내년에 완공이 되고 나면 저희들이 율림마을이나 안 그러면 법인을 공모해 가지고 저희들이 시설 유지관리를 할 계획으로 있습니다.
  마천 당흥치유마을, 치유마을은 저희들 총사업비가 10억짜리입니다. 저희들은 마을소득사업으로서 임산물 판매장하고 테라피정원, 옻나무 식재 등을 계획하고 있고, 마을경관사업으로서 경관꽃단지 조성사업과 마을안길 백합 조성과 주민역량 강화사업이 지금 계획되어 있습니다.
  사업은 내년도하고, 2018년도 2019년도입니다. 내년도 1차 사업으로서 기본계획실시설계 용역을 줘 가지고 사업을 시행토록 하겠습니다.
  산불진화 급식비가 감액된 사유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2017년도 당초 세입세출예산서 세부사업 산불진화체계 구축 및 일반운영 사무관리비로 편성비로 6개 품목의 사업 6579만 3천 원을 편성하였으나 18년도 예산편성 과정에서 일부 예산과목의 편성목이 부적절하여 재분류해서 예산 편성하여 전년도 예산총액이 그대로 표기되어 차익이 발생하였습니다. 17년도 예산서 각 비교해서 산불진화 급식비에서만 13억 9천만이 감소하였고, 나머지는 세부사업 편성목으로 동일목으로 재분류되어 편성하였습니다.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및 공모사업에 대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백두대간 주민소득 지원사업 1개소는 18년도 백두대간 주민지원사업 공모대상자 공모신청을 해 가지고, 마천에 지리산해울림영농조합법인 대표 곽치근 씨가 신청을 해 가지고 공모사업에 선정이 되었습니다.
  총사업비 2억 4514만 7천 원입니다.
  임산물 가공, 저장, 건조 설비시설 1식 지원이 되겠습니다.
  백두대간 주민소득 지원은 백두대간에 속한 읍면의 주민들의 소득 보전 차원에서 지원하는 민간사업보조예산으로 7390만 4천 원이 되겠습니다.
  이상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과장님 수고했습니다.

○. 질의 및 답변
(11시51분)

○위원장 박용운 효율적인 회의 및 예산 심의를 위해서 조금 전에 세부 설명하신 부분과 또 우리 예산 서에 일괄적으로 검토하시고 질의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답변은 앉아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발언대에서 내려와 자리에 앉음)
  검토하시고 질의하실 위원님 질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황태진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황태진 위원님 질의해 주십시오.
황태진 위원 과장님 고생이 많습니다.
  366페이지 읍 시가지 가로수 수종갱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이 예산이 우리 2차 추경 때 올라왔었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2차 추경 때 올라온 것은 군수님 포괄사업비로 해 가지고 그 계획이 되었었는데 저희들이 그때는 그 수종 관계 때문에 공청회도 안 하고 해 가지고…
황태진 위원 여기 백합나무는 어떻게 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지금 주민들 여론이 백합나무를 또 존치하자는 분도 계시고, 그래서 그 수종갱신하자고 말씀하시는 분 계시고 그래 가지고 내년 초에 여론조사 공청회를 한번 개최해보고 거기서 의견이 모아지면 추진하려고 그렇게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황태진 위원 여론조사도 좋지만 수종갱신을 하려면 이 백합나무 이것은 몇 십 년 큰 나무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한전에서 전깃줄에 피해 간다고 자기들 마음대로 잘라 가지고 그걸 저렇게 보기 싫게 만들어 놨는데, 우리 우체국 앞에 두 나무 있는 것은 아주 잘 크고 있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여름에 더우면 뭐, 더워서 다른 천막을 만들어서, 동문네거리에 예산 들여서 만들어 놨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런 걸 하는데도 나무를 베어낸다는 그 자체가, 그런 생각을 갖고 있는 자체가 내 개인 생각으로는 이해가 안 가고, 이 수종갱신도 전문가들하고 또 접촉을 해서 뭐를 제대로 해서 될지, 이 수종갱신 할 때 종목 선택이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니까 시가지에는, 지금 대구 같은 데는 여름 되면 온도가 엄청 높은데도 모 시장이 나무를 많이 심어 가지고 온도가 많이 내려왔다는 이야기 들었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맞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도 마찬가집니다, 우리도. 그런데 이 몇 십 년 키워 가지고 그걸 덜어낸다는 것이, 덜어내는 데 경비가 얼마나 많이 듭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러면 그 나무를 자를 겁니까? 몇 십 년 큰 걸?
  백합나무 저것도 우리가 외국 가 보면 전지를 잘 해 가지고 아주 보기 좋게 해놓은 데가 많습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많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리고 우리 시가지에 수종갱신을 하려면 어디 잘 되어 있는 데 가서 벤치마킹을 해 가지고 와야 됩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그리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지금 이팝나무는 좋다는 사람이 별로 없습니다. 그런 것도 상림 가는 쪽에 많이 심어 놨는데, 가을 되면 시커멓게 떨어져서 밟고 다니면 시커메지지 꽃가루 많이 날리죠. 무슨 꽃인지 벌도 안 앉습니다. 그런 걸 심어 가지고 뭐 좋다고 해 가지고 될 일이 아니거든요. 이 수목갱신도 우리 행정에서 어떻게 뭐 과업지시 해 가지고 밀어붙이기 식으로 하지 말고 실제로 제대로, 우리 함양에 가로수 갱신 참 잘 해놨다는 소리 들을 수 있는 그런 종목을 잘 선택해서 해야 되지 그냥 무턱대고 몇 사람 모여서 결정해서 될 일이 아닙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알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걸 좀 신중을 기해 가지고 수목을 잘 선택해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또 현종(現種) 있는 그 나무는 덜어내야 될 이유도 없어요. 그대로 놔두고 보강을 하면 되니까. 또 지금 어떻게 할 계획입니까?
  지금 사거리에서 보면 저 아래로 가면 오른쪽에는 지금 나무가 거의 없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많이 없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 데 다 할 계획입니까? 어떻게 뭐 부분적으로 할 계획입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전체적으로 다 같이 할 계획입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부분적으로 하지 말고 전체적으로 해 가지고 하고, 저 상림우회도로는 여기 지금 하는 게 그겁니까? 어딥니까? 이것 어디에 한다고 10㎞ 해놓은 겁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지금 병곡 월암다리 새 도로 나는 구간하고 저쪽에 대봉산 산삼휴양밸리 입구까지, 지금 지곡에서는 황금메타세콰어아를 심어 나왔거든요. 빠진 구간, 일정 구간을 안 심었기 때문에 그쪽 구간 이쪽 구간 같이 식재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황태진 위원 상림 올라가는, 그 지금 병곡으로 올라가는 거기에 왕발나문가 뭐…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용발나무입니다.
황태진 위원 용발나무 그것 심어 놓은 거기에는 할 계획을 안 갖고 있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래 그게 사실 수종으로서는 검토를 많이 했었는데 식재한 지가 좀 오래 되고 해 가지고 그 나무를 옮기려고 그러니까 이식비가 좀 많이 들고 그래서 신중한 검토를 해봐야 되겠습니다.
김윤택 위원 캐 버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그걸 옮길 의향이 없으면 그 중간 중간 가보면 중간에 이 나무가 그늘이 질 수 있게끔 거기에 심을 수 있는 공간이 있습니다. 거기에 꼭 그것 덜어내는 비용이 많이 들면, 아이 중간 중간, 그 밑에는 중간 중간 심어 놓은 게 있다 아닙니까. 조그만 정자 나무 그 가게 앞에…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심어 놨습니다.
황태진 위원 거기는 심어 놨는데 그 위에는 지금 그것만 있다 아닙니까? 용발나무?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지금 겨울에 가보면 아주 보기가 안 좋습니다. 거기에 놔두고라도 얼마든지 심을 수 있거든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보식할 수 있습니다.
황태진 위원 하면 되는데 그걸 왜 그리 꼭 고집을 하는지 모르겠어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보식하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 지금 들어오는 입구에는 느티나무하고 밖에는 벚꽃나무를 심어 놨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지금 그 가운데 소나무를 심어 놔서 소나무가 제법 많이 컸어요. 그 소나무가 몇 년 더 크면 차 다니는데 안 걸리는가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것은 반송종류가 되어 가지고 그리 크고 하는 그런 나무는 아니기 때문에, 저희들이 또 관리도 계속 하고, 연차별 계획에 의해서 그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 조동 올라가면 가을 되면, 우리가 단풍나무를 심어 놨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배롱나무…
황태진 위원 우리 들어오는 입구부터 봄에는 꽃이 좀 피면 좋고, 또 가을 되면 단풍나무로 쫙 해서 우리 마천으로 가는 길까지 단풍을 볼 수 있는 그런 여건을 만들어주면 관광객들이 더 많이 올 수 있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런 데도 좀 연구를 해서 들어오는 입구에 그냥 가을 되면 낙엽만 떨어지는 것보다 낙엽이, 단풍나무는 오래 있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오래 갑니다.
황태진 위원 색단풍 있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것은 또 많이 안 큰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 중간 중간 들어오는 입구에 쭉 심어 가지고 보기 좋게 얼마든지 할 수 있는데 좀 그런 데 관심을 가져 가지고, 우리가 들어오는 입구, 거창 너머 들어오는 입구, 수동 또 마천, 팔령 이런 데 들어오는 입구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너무 뭣이 허전해 그런 게 없대요.
  아, 들어오면 우리 함양에 야, 뭐가 그래도 참 우리 관광객이나 손님맞이를 제대로 해놓은 것 같다는 그런 이야기가 좀 나와야 되는데 그런 게 없어요. 축제 때도 전혀 그런 게 없다고 이야기를 많이 하거든요. 그런 데 좀 관심을 가져 가지고, 봄에는 꽃 피는 나무, 가을에는 단풍을 볼 수 있는 그런 수종을 해서 좀 없는 데는 보강을 하고, 그리고 또 이 나무도 전깃줄에 걸린다고 자기들 마음대로 자르고 놔두면 안 된다 아닙니까?
  완전히 중대가리를 만들어 가지고, 그 나무를 키우는 목적이 뭡니까? 그 목적에 맞게끔 나무가 크고 있어야 되지, 그냥 뭐 자기들한테 피해가 간다고 잘라 버리고 중대가리를 만들고 그래서 되겠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한전에 저희들이 공문을 내 가지고 우리하고 협의 안 하고 하면 사건처리 한다고 그리 조치를 해놨습니다. 앞으로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상림 주변, 지금 상림 올라가는 데 공사를 할 것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거기는 어떤 수종을 할 계획인가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조금 전에 말씀드린…
황태진 위원 아니 아니, 우리 여기 지금 상림화장실 옆으로 올라가는 길 4차선으로 할 것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상림화장실…
황태진 위원 주차장, 주차장 그 화장실 짓는 데 상림, 죽장으로 올라가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아, 거기는 아직까지…, 도시환경과 부서가 되어 가지고 저희들하고는 아직 협의가 안 되었거든요. 협의해 가지고 조치하도록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러니까 그런 데도 할 때 뭔가 봄, 가을 이런 때 조화가 맞게끔 수종을 잘 좀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그리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리고 아까 삭감된 데 넘어가던데, 안 하고, 큰나무가꾸기사업 이것 외 3종 8억 4938만 원이 삭감이 되었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392페이지?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산림 육성 또 우리 일자리 창출 이런 데, 뭐 일자리 창출에 지금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는데 이런 것은 왜 이렇게 삭감이 되었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산림청 산림정책상 숲가꾸기사업은 마무리된다고 계획이 세워져 가지고 지금 전반적인 사업량 감소로 인해 가지고 그게 지원이 감소되었습니다. 향후 산림정책은 경제림 조성도 조림사업 이외에는, 기존에 큰나무가꾸기, 어린나무가꾸기사업은 축소를 하고요, 조림지 풀베기사업, 덩굴류 제거사업은 사후관리에 중점을 두고 숲가꾸기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며, 그래서 이번에 사업비, 국고보조사업 자체가 예산이 감소되는 바람에 그렇게 삭감되었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래 이런 사업이 계속적으로 필요한 사업이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덩굴제거사업은 당연히 해야 되고, 뭐 풀베기 이런 것은 매년 해야 되는 것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매년 해야 됩니다.
황태진 위원 그런데 예산이 이렇게 많이 삭감이 되어 가지고, 우리 또 이런 걸로 일자리 창출이 되고 하는 건데 이런 데는 도비 국비 확보하는 데 더 많이 관심을 가져 가지고 이런 사업이, 사업이 끝났다고 어디 안 해서 될 일이 아니다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지속적으로 이런 사업이 될 수 있도록 더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렇게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박기정 위원 예?
○위원장 박용운 예, 질의하십시오.
박기정 위원 과장님, 하나만…, 375페이지 우리 밤나무 항공방제 약제지원 비용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우리 헬기는 어떻게…, 헬기 운영비용은 어떻게 합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헬기는 산림청에서 하기 때문에 그래서 산림청에서 할 겁니다.
박기정 위원 아, 이것은 산림청에서 비용을 대 가지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헬기비용은 거기서 다 합니다.
박기정 위원 그런데 왜 저쪽에 산불진화 헬기는 우리가 또 비용을 댑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산불 헬기…, 그것은 임차를 내는 겁니다. 그래서 진화 헬기 같은 것은 하고 있습니다.  
박기정 위원 이 밤나무 약제 지원은 산림청에서 해야 되는, 그리 지원한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박기정 위원 그러면 예를 들어서 밤나무 항공방제 외에 다른 약제 지원도 됩니까? 다른 약제 살포비로?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다른 약제가 이번에 저희들 사과단지 돌발해충 있지 않습니까?
박기정 위원 예.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거기에 이번에 산림청에서 헬기를 지원했습니다.
박기정 위원 뭐 그게 지원이 딱 정해져 있습니까? 아니면 우리가 요청하면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저희들 군에서 이런 이런 필요한 돌발해충이 발생해 가지고 헬기 지원해 가지고 항공방제를 해야 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요청하면 (산림)청에서 지원해줍니다.
박기정 위원 예, 알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김윤택 위원 위원장님?
○위원장 박용운 김윤택 위원님.
김윤택 위원 수고하십니다. 저도 한 가지만 물어보겠습니다.
  371페이지 밤 대체작목 조성사업 이것?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김윤택 위원 그러면 지금 밤나무를 더 이상 관리 안 하고 베어내고 그것 말이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그것 베어내고 신규로 심는 겁니다.
김윤택 위원 그러면 그것 조성까지도 다 포함이 되는 거요? 안 그러면 우리가 돈만 지원해줍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러니까 사업비를 지원해줘 가지고 식재하라고 그것까지 다 완결이 되어야 돈이 지급됩니다.
김윤택 위원 아니 우리가 산림 조림을 보면 산주들은 작업 안 하고 그냥 그 사람들이 다 한다 아니요, 그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김윤택 위원 이것도 그렇게 되어져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이것은 산주가 직접 해야 됩니다.
김윤택 위원 산주가 직접?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김윤택 위원 그런데 이것은 그렇게 하면 문제가 조금 있는 것 같아요. 왜 그러냐 하면 산주들이 다 지금 노령화 되어 있다 아니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김윤택 위원 그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김윤택 위원 그래서 산림 조림처럼 그렇게 하는 방법을, 행정에서 직접 관여를 하면 안 좋을까 싶어서 묻는 거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직접 관여는 안 되고, 저희들…
김윤택 위원 돈만 주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돈 주고, 앞으로는 관리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하는 이런 것도 군비로 해 가지고 추가로 해서 소득으로 갈 수 있도록 그리 추진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윤택 위원 지금 포기된 데가 몇 군데 있던데, 다녀보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맞습니다.
김윤택 위원 그 주인들도 보니까 다 고령화가 되어 가지고 그 보조금 갖고는…, 그래 이걸 그렇게 할 수 있는 방법을 한번 연구를 해보십시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강구를 해보겠습니다.
김윤택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황태진 위원 한 가지만 더 묻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예, 질의하십시오.
황태진 위원 밤 대체 말고 우리가 산에 있는데, 산을 그냥 별 쓸모없이 놔뒀는데 거기에 대체로 다른 수종을 심는다고 문의 많이 안 들어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지금 문의가 많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희들이 조림사업에 지금 해주고 있는 게 편백이 많이 들어오고 있거든요.
황태진 위원 아니 또 자기들이 거기에 대한 큰 지식이 없다 보니까 무슨 나무를 해야 좋겠나, 많이 물을 것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그래 무슨 나무를 권장을 많이 합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저희들은 어떤 나무 수목을 지정은 안 해주고 이런 이런 사업이 있는데 이렇게 사업 한번 해보십시오, 그러면 이런 저희들이 보조하는, 보조가 됩니다, 그렇게 설명을 드립니다.
황태진 위원 군에서 보조를 해주는 것만 하라고 해서 되는 게 아니고, 보조 안 해주면서 괜찮은 수종이 있을 것 아닙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전문가들이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황태진 위원 거기에 대한 걸 좀 해서 진짜 우리 그런 데 관심 있고, 그런 노후대책으로 나무를 심으려고 하는 사람들한테 뭔가 좀 획기적인 걸 해서 그 사람들이 믿고 나무를 갱신을 할 수 있는 그런 것도 연구검토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렇게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그래야…, 그냥 흔하게 뭐 이것 이것 있는데 한번 생각을 해보십시오, 보다는 참 자신 있게 우리 전문가들이, 우리 과장님이 전문가니까 자신 있게 이것 정도는 해 놓으면 앞으로 괜찮다 할 수 있는 그런, 자신 있게 권장을 할 수 있는 그런 걸 좀 연구검토 해 가지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알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우리한테 문의가 많이 들어오거든요. 우리한테 문의 오면 가보라고 하거든요. 뭐 그런데 전문가들하고 좀 많이 그런 걸 해서 차후에 그런 수종갱신을 해서 나중에 노후대책도 될 수 있는 그런 방법을 많이 지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그렇게 하겠습니다.
황태진 위원 이상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수고했습니다.
  과장님, 366페이지에 국립공원 구역조정 이것 지금 뭐 주민들하고는 아직 안 만나봤죠?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몇 분 만나 뵙고 저희들이 지금 공문을 내 가지고 조사를 하려고 계획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이번 기회에 행정에서 잘 해야 됩니다. 해 가지고 우리 사유권은 최대한 공원에서 배제를 시켜서, 그래야 거기서 농사도 짓고 뭐 개발행위를 하든지 이렇게 돈을 만들어야 되는데, 국립공원 묶여 가지고 아무것도 못 하게 할 것 같으면 뭣 하러 개인 것 해제를 하지, 옛날에는 보니까 하동, 구례, 남원 다 가면 웬만한 데는 다 빠져 있어요. 우리 함양만 이렇게 지금 많이 묶여 있는 것은 그만큼 우리가 여기에 관심을 안 가졌던 거라, 지금까지.
  그런데 백 과장님 계실 때 어쨌든 간에 우리 주민들이 원하는 그런 쪽으로 최대한 공원에서 뺄 수 있을 만큼 그리 노력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그렇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 다음에 368페이지 어제 아래 유성학 위원님께서도 얘기했지만, 우리 나무 은행 이것을, 이 말이 틀린 말이 아니거든요. 우리가 서상에서 예를 들어서 마천으로 운반을 한다면 보통 문제가 아니라. 그래서 기술센터에 농기계임대사업소처럼 예를 들어서 동부, 남부 이런 식으로 해 가지고 권역별로 하나씩 해보는 것도 괜찮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
  그 다음에 371페이지 톱밥 생산비 지원, 이것만 하면 우리 군에 있는 농가들이 다 사용할 수 있나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지금 산림조합에서 하고 있는 다…
○위원장 박용운 친환경(농업)과에서 하는 것하고 별개입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별개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이게 지금 몇 만 포죠, 그럼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18만 포입니다.
○위원장 박용운 함양군에 전체적으로 60만 포 정도 필요합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전체적으로 40만 포 정도 필요합니다.
○위원장 박용운 40만 포?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그럼 지금 저쪽에서 몇 만 포 하는지 모르죠, 아직?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지금 조합에서 전체 읍면에 총 생산하는 게 약 30만 포 정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30만 포?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그러면 10만 포 모자라네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이것도 잘 해서 농가들이 다 혜택을 골고루 볼 수 있게 해야 안 되겠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다음은 376페이지 임도 개설하는 부분에 있어서 우리가 얼마 전에 현장점검을 임도 개설하는 데 몇 군데 갔는데 전년도, 재작년도보다 상당하게 지금 임도 개설이 잘 되어 있더라고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그래 참 잘 했구나!’ 이런 생각을 많이 하는데 앞으로 임도 개설을 많이 해 가지고 우리 아무 산에서나 돈을 만들 수 있는 그런 게 필요할 것 같아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노력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379페이지 마천 옻나무 체험 활성화사업 있지 않습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이것도 저번에도 제가 한번 말씀드렸지만, 이렇게 기반시설 다 해놨는데 결국에 이것을 생산해서, 앞으로 옻나무를 몇 십만 주를 우리가 식재할진 모르겠지만 가공을 해야 될 장소가 없다 이 말이요, 가공공장이.
  우리가 또 옻을 만들어내는 장인들이 지금 몇 안 남았어요. 그래 이 사람들이 승계를 해서 옻을 앞으로 활성화시키려면 이런 걸 우리가 지원을 해줘야 되거든.
  이 지금 예산 범위 안에서 하려면 무리가 있고, 다른 사업을 한 번 더 공모를 하든지 해 가지고 옻을 가공하는 공장 이런 걸 좀 연구할 수 있는 것, 옻을 여러 가지에 우리가  쓴다, 아닙니까. 약으로도 쓰고 상에 옻칠 하는 데도 쓰고 하니까 그런 걸 우리가 준비를 해야 될 때가 왔다, 이런 말씀을 드립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그리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리고 황태진 위원께서 말씀하신 그 나무는 여름 되면 축제할 때 와서 보면 알지만 용발나무 옆에 공간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걸 굳이 덜어내지 못한다면 중간 중간에 보식을 해서 그늘을 만들어 내야 돼요.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보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그 다음에 아까도 얘기했지만, 함양을 오는 관문에는 어쨌든 간에 가로수를, 숲을, 나무를 홍단풍을 하든지, 예를 들어서 수동 가는 데 보니까 백일홍인가 그 잘 해놨던데, 보기 좋더라고요. 그런 것, 또 마천 같은 데 산내에서 넘어오면 은행나무 거리가 있는데 그것도 지금 중간 중간에 빠져 있는 게 많아요. 그런 것도 보식을 해야 됩니다. 안 되면 산내면하고 협의해서 두 지자체에서 산내 그 실상사까지 은행나무를 식재를 해라, 이렇게 서로 협의해서, 그러면 거리가 4㎞ 안 됩니까?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예.
○위원장 박용운 4㎞ 되면 정말로 그게 도로 명소로서 우리가 자리매김할 수 있거든요. 그리 해서 내년도 예산 효율적으로 잘 쓸 수 있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잘 알겠습니다.
○위원장 박용운 더 질의하실 위원 계십니까?
  (“없습니다” 하는 위원 있음)
  더 질의하실 위원이 안 계시므로 산림녹지과 소관에 대한 질의를 종결하겠습니다.
  과장님하고 우리 계장님들 장시간 고생했습니다. 나가셔도 되겠습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감사합니다.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각 담당들과 함께 산업건설위원회실 나감)
○위원장 박용운 이상으로 오늘 의사일정을 모두 마쳤습니다.
  산회를 선포합니다.
(12시14분 산회)


○재적위원(5명)  
○출석위원(4명)  
  위원장 박용운
  위  원 김윤택
  위  원 박기정
  위  원 황태진
○출석공무원  
  산삼항노화엑스포과장 정민수
  산림녹지과장 백승우
○출석의회공무원  
  전문위원 배성훈
  지방행정주사보 이지영
○기록자  
  속기사 이영환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김정희

김정희

  • 이 름 김정희
  • 선 거 구 비례대표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4
  • 이 메 일 kjh0192@korea.kr
  • 주 소 함양읍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자양초등학교/삼가중학교/진주여자고등학교 졸업
  • 마산대학교 졸업(약재개발학과,전문이학사)/한국국제대학교 졸업(건강기능식품학과, 이학사)
  • 서울사이버대학교 졸업(사회복지사 2급)
<경력사항>
  • 경남지방행정공무원 임용(9급 행정직, 당시 5급)
  • 지방행정공무원 명예퇴직(함양군 지방행정사무관)
  • 함양연꽃라이온스클럽(회장)
  • (현) 국제라이온스협회 355-E 지구 거창,함양지역 2지대(위원장)
  • (현)대한적십자사 함양중앙봉사회(회원)
  • (현)함양경찰서 청소년육성회(위원)
  • (현)한국여성소비자연합 함양지부(자문위원)
  • (현) 경상남도 주민참여예산위원회(위원)
  • (전)제7대 전반기 기획행정위원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박준석

박준석

  • 이 름 박준석
  • 선 거 구 다선거구
  • 소속정당 무소속
  • 사 무 실 055-960-5061
  • 이 메 일 jus0850@korea.kr
  • 주 소 안의면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안의초등학교/안의중학교/안의고등학교 졸업
  • 대한유도(현 용인대학교) 중퇴
<경력사항>
  • (전)새누리당 함양군당원협의회(운영위원 회장)
  • (현)안의면 청년회(부회장)
  • (현)안의면 체육회(감사)
  • (현)안의면 의용소방대(대원)
  • (현)함양군 태권도협회(이사)
  • (현)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위원)
  • (전)제7대 전반기 의회운영위원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박병옥

박병옥

  • 이 름 박병옥
  • 선 거 구 다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8
  • 이 메 일 ppgok@korea.kr
  • 주 소 서상면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서상중학교 졸업
<경력사항>
  • 서상면 체육회(4,5대 회장)
  • 함양군 체육회(이사)
  • 서상중학교 총동창회(회장)
  • 함양군 씨름협의회(이사)
  • 서상면 생활안전협의회(회장)
  • 민주평화통일자문위원회(위원)
  • (현)밀성박씨 종친회 서상면분회(회장)
  • (현)서상초등학교 총동창회(수석부회장)
  • (현)서상면 재향군인회(회장)
  • (현)서상면 발전협의회(부회장)
  • (현) 서상면 남덕유산 산악회(회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김윤택

김윤택

  • 이 름 김윤택
  • 선 거 구 다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70
  • 이 메 일 kyt5552@korea.kr
  • 주 소 안의면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동도초등학교/안의중학교 졸업
  • 안의고등학교 1학년 제적
<경력사항>
  • 안의농협 근무
  • 가락종친회 안의면청년회(회장)
  • 함양경찰서행정발전위원회(위원)
  • 함양군새마을교통봉사대(대장)
  • 안의면 자원봉사협의회(회원)
  • 함양로타리클럽(회원)
  • (현)연암산악회(부회장)
  • (현)안의면체육회(이사)
  • (현)안의항공여행사(대표)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이경규

이경규

  • 이 름 이경규
  • 선 거 구 나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5
  • 이 메 일 jirisan8282@korea.kr
  • 주 소 마천면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의탄초등학교/함양중학교/함양종합고등학교 졸업
  • 서울사이버대학교 졸업(사회복지학과)
<경력사항>
  • 함양군청 공무원
  • 함양중학교 총동창회(회장)
  • 함양로타리클럽(회장)
  • 함양경찰서 청소년선도위원회(위원)
  • 함양문화원(이사)
  • 지리산공인중개사(대표)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박용운

박용운

  • 이 름 박용운
  • 선 거 구 나선거구
  • 소속정당 무소속
  • 사 무 실 055-960-5062
  • 이 메 일 mpy25@korea.kr
  • 주 소 마천면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마천초등학교/마천중학교 졸업
  • 반성종합고등학교 졸업(현 진주외국어고등학교)
<경력사항>
  • (전)한나라당 마천협의회(회장)
  • 마천초등학교 체육진흥회(회장)
  • 마천초등학교 운영위원회(위원장)
  • 마천면 체육회(회장)
  • (전)제7대 전반기 산업건설위원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황태진

황태진

  • 이 름 황태진
  • 선 거 구 가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3
  • 이 메 일 hyjgta@korea.kr
  • 주 소 함양읍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휴천초등학교 졸업/함양중학교졸업/함양종합고등학교 졸업
  • 인천전문대학교 졸업(무도과)
<경력사항>
  • 신한국당 산청.함양지구당(조직부장)
  • 한나라당 산청.함양지구당(사무국장)
  • 함양군 학원연합회(회장)
  • 함양군 체육회(사무국장)
  • 함양중학교 제30회 동문회(회장)
  • 민주평화통일자문회함양군협의회(자문위원)
  • 함양군 물레방아골축제위원회(위원)
  • 한나라당 정치대학원 수료
  • 함양군의회 제6대 전반기 부의장
  • (현)함양중학교 총동창회(회장)
  • (전)제7대 전반기 의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임재구

임재구

  • 이 름 임재구
  • 선 거 구 가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6
  • 이 메 일 9639997@korea.kr
  • 주 소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경상대학교 행정대학원 지방자치학과(석사)
<경력사항>
  • 함양청년회의소회장(1998년)
  • 함양로타리클럽 회장(2011~2012년)
  • 함양군 장애인후원회 회장
  • 함양읍체육회 부회장
  • 함양 청년회의소 특우회 감사
  • 함양군 생활체육회 테니스협회장
  • 함양군사랑의봉사대
  • 경남 임업후계자협회 감사(역임)
  • 함양중학교 총동창회장
  • 법무부 범죄예방함양지구위원
  • 함양경찰서 행정발전위원(2010년)
  • 함양군네트워크 장애분과 위원장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함양군협의회 자문위원
  • 제6대 전반기 의회운영위원장
  • 제6대 후반기 부의장(전)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유성학

유성학

  • 이 름 유성학
  • 선 거 구 가선거구
  • 소속정당 무소속
  • 사 무 실 055-960-5067
  • 이 메 일 youseong@korea.kr
  • 주 소 함양읍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성민고등공민학교 졸업
<경력사항>
  • 대원종합건설(주)(이사)
  • 반월종합건설(주)(전무이사)
  • (사)함양군장학회(감사)
  • 국제라이온스협회 355J 지구 함양클럽(회장)
  • 지리산 제1문 건립 추진위원회(위원장)
  • 함양고등학교 운영위원회(위원장)
  • 함양지리산케이블카 추진위원회(집행사무국장)
  • 국제라이온스협회 355E 지구(부총재)
  • (현)세광묘정공원묘원 기획이사
  • (현)함양초등학교 총동장회(회장)
  • (전)제7대 전반기 부의장
x close

함양군의회의원프로필

박기정

박기정

  • 이 름 박기정
  • 선 거 구 가선거구
  • 소속정당 자유한국당
  • 사 무 실 055-960-5069
  • 이 메 일 pgz4541@korea.kr
  • 주 소 함양읍

학력사항 및 경력사항

<학력사항>
  • 석복초등학교/함양중학교/함양종합고등학교(현 제일고) 졸업
  • 부산대학교 졸업(법학과)
<경력사항>
  • 서울지방법원(사무관)
  • 창원지방법원 산청등기소(소장)
  • 창원지방법원 진주지원(등기과장, 호적담당관, 민형과장)
  • 창원지방법원 합천등기소(소장)
  • 창원지방법원 김해등기소(소장)
  • 주일본후쿠오카총영사관(영사)
  • 창원지방법원(형사과장, 민사신청과장)
  • (전)함양중학교 폭력대책자치위원회(위원장)
  • (전)함양군 체육회(이사)
  • (현)박기정 법무사 사무소(법무사)
x close